직업정보
- 직업정보검색 메인
- 직업정보
문리학원강사
인문·사회과학 연구직
-
연봉 3000 만원 이상
-
일자리전망 보통미만
-
발전가능성 보통이상
-
고용평등 보통이상
직업개요
핵심업무
- 문리학원강사는 수강생들에게 학교 교과목, 각종 고시 과목에 관한 이론과 기술을 강의하고 자격·면허를 취득하기 위한 전문과목을 지도한다.
하는 일
- 교육 목적에 부합되는 훈련프로그램이나 수업과정을 개발한다.
- 수강생이 강의 중 혹은 이외의 학습과정에서 궁금했던 사항에 대한 질문에 응답한다.
- 수강생들의 수업내용 숙지 정도를 평가하기 위해 시험을 실시하고, 채점한다.
- 초·중·고등학교 학생을 대상으로 일반 교과목의 보완학습을 지도한다.
- 각종 고시 및 입시에 출제되는 교과목 중 하나 또는 그 이상을 전문으로 가르친다.
- 해당 분야로는 논술, 어학, 수학, 과학, 사회, 고시, 검정 등이 있다.
적성 및 흥미
- 기본적으로 다른 사람들에게 일하는 방법에 대해 가르치는 능력이 필수적이다.
- 새로운 것을 배우거나 가르칠 때 적절한 방법을 활용하는 능력과 자기가 알고 있는 것을 다른 사람에게 조리있게 말하는 능력이 필요하다.
- 사람을 가르치고 훈련시키는데 필요한 방법 및 이론에 관한 지식이 필요하다.
취업현황/문의기관
취업현황
입직 및 취업방법
- 학원강사가 되기 위해 반드시 필요한 교육이나 학력 조건은 없지만 가르치는 분야에 대한 전문지식이나 기술·기능 등을 보유하여야 하며 이를 잘 전달할 수 있는 능력이 필요하다. 학원강사는 교원자격 소지자, 전문대학 졸업자 또는 그 이상의 학력이 있는 사람으로 해당 분야의 전문적인 지식과 실기 능력을 갖추어야 한다. 문리학원강사는 대학 이상에서 사범계열을 졸업하거나 관련 분야의 전공을 하는 것이 취업 시 유리하다.
고용현황
- 향후 5년간 문리학원강사의 고용은 현 상태를 유지하거나 다소 감소할 전망이다.
학령 인구의 감소, 학원 간 과다경쟁, 학원의 대형화, 체인화 추세 속에서 많은 소규모 학원들이 경영난을 겪고 있다.
정부가 사교육비 경감을 위해 방과 후 학교프로그램과 같은 공교육의 확대와 학원 수업시간의 제한, 각종 경시대회 철폐 등의 교육정책을 지속한다면 영세한 학원의 문리학원 강사에 대한 수요가 과거에 비해 상대적으로 약화될 것으로 전망된다.
임금수준
- 문리학원강사의 평균연봉(중위값)은 3304만원 수준에 형성되어 있다. (자료:워크넷 직업정보 2017년 기준)
준비방법
정규 교육과정
- 학원강사가 되기 위해 반드시 필요한 교육이나 학력 조건은 없지만 가르치는 분야에 대한 전문지식이나 기술·기능 등을 보유하여야 하며 이를 잘 전달할 수 있는 능력이 필요하다. 학원강사는 교원자격 소지자, 전문대학 졸업자 또는 그 이상의 학력이 있는 사람으로 해당 분야의 전문적인 지식과 실기 능력을 갖추어야 한다. 문리학원강사는 대학 이상에서 사범계열을 졸업하거나 관련 분야의 전공을 하는 것이 취업 시 유리하다.
직업훈련
문의기관
- 교육부http://www.mest.go.kr/
- 한국학원총연합회http://www.kaoh.or.kr/
직업전망
직업전망
- 보상
-
일자리
전망 -
고용
안정 -
발전
가능성 -
근무
여건 -
직업
전문성 -
고용
평등 -
- 0%
- 25%
- 50%
- 75%
- 100%
차트분석
- 다른 직업에 비해 임금 수준이 낮지만 복리후생은 좋은 편으로 나타났다.
- 일자리 창출과 일자리 성장이 활발하나, 취업경쟁은 치열한 편이다.
- 정규직 고용비율이 낮으며 고용이 잘 유지되지 않는 편이다.
- 끊임없이 자신의 능력을 개발해야 하며, 능력에 따라 직장이동이 가능한 것으로 나타났다.
- 근무시간이 길지 않고 근무 환경이 쾌적하나, 정신적 스트레스가 평균보다 더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 상당한 수준의 전문지식을 요하며, 업무에서 자율성이나 권한이 있는 편이다. 사회적 평판이나 직업에의 소명의식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 고용에서 양성평등이 잘 이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직업선호특성
문리학원강사을/를 선호하는 성별 비율은 ?
-
남자 32%
-
여자 67%
문리학원강사을/를 선호하는 학교급별 비율은 ?
-
중학생14 ~ 16세 청소년56%
-
고등학생17~19세 청소년4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