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업정보
- 직업정보검색 메인
- 직업정보
일반공무원
경영·행정·사무직
-
연봉 4000 만원 이상
-
일자리전망 매우좋음
-
발전가능성 좋음
-
고용평등 좋음
직업개요
핵심업무
- 국가 또는 공공 기관에 소속되어 정부고유의 행정업무와 관련된 공무를 담당한다
관련학과 / 관련자격 / 관련직업
- 관련학과 경영학과, 경제학과, 법학과, 사회복지학과, 행정학과, 회계학과
- 관련자격증
- 관련직업 정부·공공행정전문가, 직업군인
하는 일
- 일반공무원은 국가 또는 공공 기관에 소속되어 정부고유의 행정업무와 관련된 공무를 담당한다
- 국민과 직ㆍ간접적으로 연관되어 있으며, 기술적인 업무, 연구, 농어촌 지도업무, 행정일반에 대한 업무를 담당한다.
- 정부 고유의 행정 업무인 주민등록, 출생, 사망, 혼인, 이혼, 호적 등과 관련된 서류접수 및 발급 등의 업무를 수행하거나 각종 승인이나 검사, 허가 등 정부행정 집행과 관련된 업무를 수행한다.
- 각종 보고서나 문서를 기안 보고하고 시행하며, 기타 행정에 관련된 업무를 수행하여 법령과 업무처리규정에 따라 소관업무를 계획하고 시행한다.
- 법령과 업무처리규정에 따라 소관업무를 계획하고 시행한다.
적성 및 흥미
- 일반공무원은 업무를 잘 수행하기 위해서 일반 행정에 관련되는 모든 법령을 이해하고 실제 적용할 수 있는 사무능력과 언어전달능력이 요구된다.
- 국민에 대한 봉사자로서 공공의 이익을 실현하고 공무수행과정에서 올바르게 실천해나갈 수 있는 직업윤리의식이 필요하다.
- 관습형과 사회형의 흥미를 가진 사람에게 적합하며, 사회성, 정직성, 혁신 등의 성격을 가진 사람들에게 유리하다.
취업현황/문의기관
취업현황
입직 및 취업방법
- 공무원이 되기 위해서는 국가에서 시행하는 행정고시에 합격해야 한다. 행정고시는 5급, 7급, 9급 시험이 있다.
고용현황
- 일반공무원의 종사자 수는 407,000명이며, 향후 10년간 고용은 연평균 0.8%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자료: 2016~2026 중장기 인력수급 전망). 다만 매년 공무원 충원규모는 연말 정부 및 자치단체의 수요를 받아 공무원임용시험을 통해 선발되고, 정년이 보장되기 때문에 인력의 감소의 변화가 크지않아 일반공무원의 고용은 현상태를 유지할 가능성이 있다(자료: 워크넷 직업정보 2019년 7월 기준).
임금수준
- 일반공무원의 평균연봉(중위값)은 4,072만원이다(자료: 워크넷 직업정보 2019년 7월 기준).
준비방법
정규 교육과정
- 일반공무원이 되기 위해서 전문대학 및 대학교에서 행정학, 법학, 경영학, 회계학, 경제학, 사회복지학 등을 전공 하면 시험 대비에 유리하다.
직업훈련
- 일반 사설학원에서 일반공무원이 되기 위한 과정을 받을 수 있다.
문의기관
- 한국지방행정연구원http://www.krila.re.kr
- 한국행정연구원http://www.kipa.re.kr
- 행정안전부http://www.moi.go.kr
직업전망
직업전망
- 보상
-
일자리
전망 -
고용
안정 -
발전
가능성 -
근무
여건 -
직업
전문성 -
고용
평등 -
- 0%
- 25%
- 50%
- 75%
- 100%
차트분석
- 일반공무원이 포함된 경영지원 및 행정 관련 사무원은 다른 직업에 비해 임금 수준이 비교적 높은 편이다.
- 일반공무원이 포함된 경영지원 및 행정 관련 사무원의 일자리전망점수가 높게 나타나고 있다.
- 일반적으로 정년이 보장되며 고용안정이 잘 이루어지는 편이다.
- 전반적으로 근무여건이 좋은 것으로 평가된다.
- 직업전문성이 전체 직업 평균보다 낮은 편이다.
- 고용평등이 다른 직업에 비해 높게 나타났다.
직업선호특성
일반공무원을/를 선호하는 성별 비율은 ?
-
남자 33%
-
여자 66%
일반공무원을/를 선호하는 학교급별 비율은 ?
-
중학생14 ~ 16세 청소년55%
-
고등학생17~19세 청소년4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