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업정보
  • 직업정보검색 메인
  • 직업정보
전통예능인

예술·디자인·방송직

  • 연봉 3000 만원 이상
  • 일자리전망 보통이상
  • 발전가능성 좋음
  • 고용평등 좋음
직업개요
핵심업무
  • 전통예능인은 중요 무형문화재로 채택되어 전승되고 있는 전통음악이나 무용, 연극, 각종 놀이 등을 공연하여 전통예능을 계승하거나 보존하는 일을 담당한다.
관련학과 / 관련자격
하는 일
  • 판소리, 민요 등의 창(唱)을 부르거나, 거문고, 가야금, 향비파, 대금 등과 같은 악기를 연주한다.
  • 중요무형문화재로 채택되어 전승되고 있는 전통음악은 17종목으로 종묘제례악, 판소리, 농악, 거문고 산조, 선소리 산타령, 대금 정악, 가야금 산조 및 병창, 서도소리, 가곡, 가사, 대금 산조, 피리 정악 및 대취 타, 서도 들노래, 경기민요, 향제줄풍류, 농요 등이 있다.
  • 처용무, 학무, 연화대무, 진주검무, 통영승전문 등의 궁중무용인 정재(呈才)와 승무, 살풀이, 남무, 한량무, 태 평무 등의 민속 무용을 춘다.
  • 전통적인 가면극이나 연극을 벌인다.
  • 중요무형문화재로 채택되어 전승되고 있는 전통연극은 14종목으로 양주별 산대놀이, 통영오광대, 고성오광 대, 북청사자놀음, 봉산탈춤, 동래야유, 강령탈춤, 수영야유, 송파산대놀이, 은율탈춤, 하회별신굿탈놀이, 가산 오광대, 발탈, 진도다시래기 등이 있다.
적성 및 흥미
  • 음의 고저와 크기의 차이를 구분할 수 있는 청력을 필요로 한다.
  • 역사적 사건과 원인 그리고 유적에 관한 지식, 생활에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철학과 문화에 관한 지식이 중요한 직업이다.
  • 비판을 받아들이고, 고도의 스트레스 상황에서도 효과적으로 대처할 수 있어야 하고, 변화와 가지각색의 다양성에 대하여 개방적이어야 한다.
취업현황/문의기관
취업현황

입직 및 취업방법

  • 전통예능인이 되기 위해서는 유명 예능인의 문하생으로 들어가 도제식으로 훈련을 받거나 전문 교육기관에서 공부하는 것이 유리하다. 국립국악 중·고등학교를 비롯해 예술 중·고등학교, 대학이나 기타 사설교육기관 등에서 국악 또는 전통연극, 무용 등을 배우게 된다. 현재 전문대학 및 대학교에는 국악(학)과, 한국음악(학)과, 전통무용학과 등이 개설되어 있으며, 입학 시 전공에 따라 실기전형을 치른다. 대학교육이 절대적인 것은 아니며 어린 시절부터 전통예능에 관심을 가지고 꾸준히 연습하는 자세가 필요하다.
  • 국·공립 국악연주단체, 사설단체 등으로 진출하거나 개별적으로 활동하는데, 보통 국·공립단체의 경우 대개 결원 시에만 공채한다. 국립국악원의 경우, 대학 졸업자 이상 및 만 40세 이하로 응시자격을 두기도 하며, 보통 서류전형, 실기, 면접 등의 과정을 통하여 선출한다.

고용현황

  • 향후 5년간 전통예능인을 포함한 국악인의 고용은 현 상태를 유지할 것으로 전망된다. 최근 국악 공연이 증감을 반복하며 꾸준히 개최되면서 관객을 만나고 있지만, 국악을 비롯한 전통예술에 대한 국민의 관심이 높은 편이 아니고, 정부와 지자체에서도 전통예술에 대한 전폭적인 지원이 이뤄지고 있는 것은 아니다. 최근에는 전통예술 창작활동 지원을 늘리고, 전통 연희의 문화상품화를 위한 축제가 개최되는 등 전통예술 대중화를 위한 노력이 이어지고 있다. 매년 배출되는 국악전공자에 비해 신규 채용인원은 소수이며, 특히 국공립 단체와 같이 직업적으로 안정된 일자리는 제한적이기 때문에 인지도가 있는 단체의 경우 입직 경쟁이 치열할 전망이다. 국악 및 전통예능인 활동만으로는 생계를 유지하기 어려운 편이어서 상당수가 교육기관에서 강사로 활동하거나 개인레슨, 방과 후 강사 등을 병행하기도 한다. (자료: 2016~2026 중장기 인력수급 전망, 워크넷 직업정보 2019년 7월 기준).

임금수준

  • 전통예능인의 평균연봉(중위값)은 3,054만원 수준에 형성되어있다. (자료: 워크넷 직업정보 2020년 기준)

준비방법

정규 교육과정

  • 전통예능인이 되기 위한 학력의 제한은 없으나 국악전문 중고등학교나 예술중고등학교, 전문대학과 4년제 대학의 국악(학)과, 전통예술과 등을 전공한 사람이 대부분이다. 국악전문 중·고등학교나 예술 중·고등학교의 국악과에 입학하려면 실기전형을 치러야 한다. 고등학교 국악과에는 국악기악(가야금, 피리, 거문고, 해금, 대금, 아쟁, 타악 등), 국악성악(민요, 판소리, 정가 등), 이론·작곡·지휘 등의 전공으로 구분되며, 학교마다 그리고 전공에 따라 입시 실기전형을 치른다.

직업훈련

문의기관
직업전망
직업전망
  • 보상

    보상90%

  • 일자리
    전망

    일자리전망57%

  • 고용
    안정

    고용안정86%

    • 0%
    • 25%
    • 50%
    • 75%
    • 100%
  • 발전
    가능성

    발전가능성75%

  • 근무
    여건

    근무여건47%

  • 직업
    전문성

    직업전문성70%

  • 고용
    평등

    고용평등58%

    • 0%
    • 25%
    • 50%
    • 75%
    • 100%
차트분석

  • 전통예능인은 평균과 비교하여 임금과 복리후생이 높은 편이다.
  • 일자리의 창출과 성장이 매우 제한적이다.
  • 정규고용과 고용유지의 수준이 모두 낮아 고용이 매우 불안정한 것으로 나타났다. 승진 및 직장이동의 가능성도 매우 낮은 편이다.
  • 근무시간이 짧으나 불규칙하고 근무 환경이 좋지 않은 편이나, 육체적 스트레스가 심하지 않은 편으로 나타났다.
  • 국악에 대한 지식과 연주기법 등의 전문지식이 요구되나, 업무의 권한은 제한적이다. 사회적으로 평판이 긍정적이고 사회 기여도나 직업에의 소명 의식은 높게 나타났다.
  • 고령자친화성의 수준이 평균에 비해 높게 나타났다.
  • 전통음악이나 무용, 연극, 각종 놀이 등을 공연하고 전통예능을 계승하거나 보존한다.
직업선호특성
전통예능인을/를 선호하는 성별 비율은 ?
  • 남자33%
  • 여자67%
전통예능인을/를 선호하는 학교급별 비율은 ?
  • 중학생
    14 ~ 16세 청소년
    62%
  • 고등학생
    17~19세 청소년
    3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