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유튜브 배속재생 습관이라면? '이 병'을 의심
주위에서 건너뛰기나 배속재생 기능을 이용해 유튜브, 넷플릭스 등의 영상을 시청하는 사람들을 어렵지않게 볼 수 있다.
그러나 영상을 빨리 보는 습관이 있다면 ADHD(주의력 결핍 과잉행동장애)를 한 번쯤 의심해봐야 한다.
- 배속재생 습관이 있다면 ADHDD 의심해봐야
대다수의 영상을 빠르게 보거나 건너뛰면서 시청하는 습관이 있다면 ADHD를 의심해볼 필요가 있다.
ADHD는 주의산만, 과잉행동, 충동성, 집중력 부족 및 과집중을 주 증상으로 보이는 정신질환이다.
길병원 정신건강의학과 배승민 교수는 "ADHD가 있는 사람들은 길고 지루한 영상을 시청하는 것을 어려워한다"며
"대다수의 정보를 전부 빠른 속도로만 시청한다고 하면 이제 내가 다른 사람들보다는 더 길게 보는 걸 못 버틴다는 신호일 수 있어
이러한 경우엔 성인 ADHD 가능성이 있진 않은지 점검을 받아볼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배속재생이 ADHD 증상을 악화하기도 한다.
배승민 교수는 "영상을 빠르게 보는 시청습관으로 인해 ADHD 증상이 발현되고 충동성이 더 강화될 가능성이 있다."고 말했다.
평소 스트레스가 많을 가능성도 있다.
스트레스가 많은 사람은 대량의 정보를 받아들이는 걸 힘들어 한다.
배승민 교수는 "별다른 기저질환이 없다면 내가 일상 생활에서 너무 스트레스를 많이 받아서 그런게 아닌가 생각해보고 점검해 보는 게 좋다."며
"스트레스에 민감해 빠르게 영상을 시청하는 쪽을 선호하는 방향으로 몸이 인식해 그 패턴이 더 공고화될 수 있다."고 말했다.
- 대인관계에 문제 생길 수 있어
ADHD가 있는 사람이 배속재생 습관을 고치지 않는다면 실제 인간관계에서도 부작용이 생길 수 있다.
배승민 교수는 "남의 얘기를 잘 들어주지 않거나 자신의 의견만 반복해서 얘기하는 식의 미숙한 의사소통 패턴이 확고해질 수 있다."며
"대인 관계는 1.5배속, 2배속 할 수가 없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남의 얘기를 귀담아듣지 않고 대충 듣고 넘겨버리다 보면 직장 생활 소통에 문제가 생길 가능성이 훨씬 커지기도 한다.
기저질환이 없던 일반인도 영상을 빠르게 시청하는 습관이 계속된다면 집중력 및 독해력이 낮아질 가능성이 있다.
영상 시청은 본래 긴 문자를 읽고 이해하는 기능을 위해 사용하던 뇌를 쓰지 않다 보니 그 기능에 대한 구현능력이 감소할 수 있다.
뇌는 익숙하고 자주 하던 방식으로만 생각하고 작동을 작용하려 관성이 있다.
따라서 배속재생하는 방식으로 외부 정보를 받아들이는 습관을 가지면 일상 대화 패턴의 집중력을 유지하기 어려워지는 것이다.
제목 | 작성자 | 작성일 |
---|---|---|
댓글목록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