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업정보
- 직업정보검색 메인
- 직업정보
신경회로망연구원
제조 연구개발직 및 공학기술직
-
연봉 4000 만원 이상
-
일자리전망 매우좋음
-
발전가능성 매우좋음
-
고용평등 좋음
직업개요
핵심업무
- 신경회로망연구원은 영상 및 음성인식, 로봇의 제어, 통신 등에 사용되는 인공지능형 반도체 및 응용기술을 연구하고 개발하는 일을 담당한다.
관련학과 / 관련자격 / 관련직업
- 관련학과 기계공학과, 재료공학과, 전기공학과, 전자공학과, 컴퓨터공학과
- 관련자격증 로봇소프트웨어개발기사
- 관련직업 로봇연구원
하는 일
- 신경회로망연구원은 영상 및 음성인식, 로봇의 제어, 통신 등에 사용되는 인공지능형 반도체 및 응용기술을 연구하고 개발하는 일을 담당한다.
- 인간의 뇌와 뇌세포 구조에 대한 지식을 바탕으로 컴퓨터나 로봇 등이 인간과 같이 사고하고 학습하는 능력을 갖는 것을 가능케 하는 프로그램을 개발, 연구한다.
- 영상인식, 음성인식, 로보트제어, 표적인식, 통신 등에 사용되는 응용기술을 연구한다.
적성 및 흥미
- 인간의 신경망 및 전자공학 등에 대한 지식과 흥미를 가지고 있어야 하며, 수학, 물리, 화학 등 기초적 과학 분야에 대한 재능이 요구된다.
- 각종 컴퓨터 응용 프로그램을 능숙하게 활용할 수 있는 능력이 요구되며, 계속해서 발전하는 새로운 기술을 습득하려는 노력과 자기계발 자세가 필요하다.
- 새로운 것에 대한 탐구정신과 호기심, 창의성과 문제해결을 위한 논리적 사고, 분석력, 그리고 정확한 판단력이 요구된다.
취업현황/문의기관
취업현황
입직 및 취업방법
- 공채나 교육기관의 소개 등을 통해 정부 산하 연구소, 기업체 연구소 및 대학부설 연구소 등에 채용될 수 있다.
고용현황
- 신경회로망연구원를 포함한 생명과학연구원의 종사자 수는 38,000명이며, 향후 10년간 고용은 연평균 2.6%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자료: 2016~2026 중장기 인력수급 전망). 기후변화 및 고령화 등 인류난제를 극복하기 위한 보건·의료, 생물정보, 환경·에너지 등 타 기술과의 융합과 응용 분야가 확대에 따라 줄기세포 연구, 뇌 연구 등 생명공학 산업의 성장과 함께 신경회로망연구원의 고용도 다소 증가할 것으로 보인다(자료: 워크넷 직업정보 2019년 7월 기준).
임금수준
- 신경회로망연구원를 포함한 생명과학연구원의 평균연봉(중위값)은 4182만원이다(자료: 워크넷 직업정보 2019년 7월 기준).
준비방법
정규 교육과정
- 신경회로망연구원이 되기 위해서는 대학교의 전자공학 관련 학과를 졸업하는 것이 유리하며, 연구소나 업체에 따라서는 전자공학 분야의 석사 이상의 학위를 요구하기도 한다.
직업훈련
문의기관
- 대한전자공학회http://www.ieek.or.kr
- 한국과학창의재단http://www.kofac.re.kr
- 한국전자정보통신산업진흥회http://www.gokea.org/
- IT종합정보데이터베이스http://itfind.or.kr
- 교육부http://www.moe.go.kr/
직업전망
직업전망
- 보상
-
일자리
전망 -
고용
안정 -
발전
가능성 -
근무
여건 -
직업
전문성 -
고용
평등 -
- 0%
- 25%
- 50%
- 75%
- 100%
차트분석
- 신경회로망연구원이 포함된 응용 소프트웨어 개발자는 임금과 복리후생의 수준이 높은 편이다.
- 다양한 소프트웨어의 필요성이 증가하고 있어 일자리 창출 및 일자리 성장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 전문직으로서 새로운 기술 습득이 필요하므로 자기개발가능성이 높고, 능력에 따른 승진 및 직장이동의 가능성이 매우 높은 편이다.
- 근무환경이 쾌적하고 육체적 스트레스는 적은 편이나, 근무시간이 길고 정신적 스트레스가 심한 편이다.
- 프로그램 개발에 대한 높은 수준의 전문지식이 요구되고 업무자율성이 높은 편으로, 사회적 평판이 긍정적이다.
- 양성평등의 수준이 높아 여성의 직업 접근이 비교적 쉬운 것으로 나타났다.
직업선호특성
신경회로망연구원을/를 선호하는 성별 비율은 ?
-
남자 45%
-
여자 54%
신경회로망연구원을/를 선호하는 학교급별 비율은 ?
-
중학생14 ~ 16세 청소년46%
-
고등학생17~19세 청소년5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