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업정보
- 직업정보검색 메인
- 직업정보
농업용 및 기타 기계장비설치·정비원
기계 설치·정비·생산직
-
연봉 3000 만원 이상
-
일자리전망 보통미만
-
발전가능성 좋음
-
고용평등 보통이상
직업개요
핵심업무
- 트랙터 및 경운기, 양수기, 분무기, 살포기, 파쇄기, 손수레, 운반구 등 농업에 필요한 기계와 설비를 유지 및 정비한다.
관련학과 / 관련자격 / 관련직업
- 관련학과 기계과, 자동차정비과
- 관련자격증 자동차정비기능사, 농기계정비기능사
- 관련직업 공업기계설치 및 정비원, 승강기설치·정비원, 물품이동장비설치·정비원, 보일러공, 건설 및 광업기계설치 및 정비원
하는 일
- 농업용 및 기타 기계장비설치·정비원은 기중기, 해머, 수동용 공구를 사용하여 고장 및 파손된 농업용 기계를 분해·점검하여 고장 원인을 분석한다.
- 각 부품의 마모 정도와 손상을 육안 또는 청각으로 조사하여 이상이 있는 부품을 교체하고, 고장난 부품이나 농기계를 수리한다.
- 정비 후 시운전을 하여 이상 유무를 확인하고, 부품의 조립상태를 점검한다.
- 각종 벨트의 헐거움이나 냉각장치, 윤활장치, 시동장치 등을 테스터기 또는 육안으로 점검하여 엔진의 상태를 점검한다.
- 각종 펌프의 설치 및 유지 보수업무를 하기도 한다.
적성 및 흥미
- 기계의 작동을 점검하고 고장이 있다면 발견과 수리를 할 수 있다.
- 복잡한 부품을 조립하거나 정교한 작업을 하는 손재주가 필요하다.
- 기계의 수리, 유지 와 관련된 지식들이 요구된다.
- 움직이는 기계에서 근무를 하여 몸에 진동이 노출되어 보호복 착용이 요구된다.
취업현황/문의기관
취업현황
입직 및 취업방법
- 농기계, 관리기, 분무기, 살포기, 파쇄기, 손수레, 운반구 등 농업에 필요한 기계들의 고장을 진단하고 장비를 교체하고 정비하는 업무를 수행하려면 공업계 고등학교나 직업전문학교, 기능대학 등에서 엔진기관이나 기계 분야를 전공해야 한다. 공업계 고등학교나 공공직업훈련기관, 사설 정비학원에서 체계적으로 교육을 받고 농기계정비사의 자격증을 취득한 후에 농업기술센터, 농기계대리점, 기계정비센터 등에 취업할 수 있다.
고용현황
- 향후 5년간 농업용 및 기타 기계장비설치·정비원은 다소 감소할 것으로 전망된다. 농업분야의 기계화에 트랙터와 같은 농기계들의 도움이 필수적이라 할 수 있다. 농사를 짓는 사람들에게는 농업용 기계는 지속적으로 필요할 것이다. 그러므로 이 기계가 고장이나면 수리하고 정기적으로 점검을 하는 농업용 기계 정비원의 수요도 지속적으로 발생할 것으로 예상할 수 있다. 그러나 농업의 산업규모는 전반적으로 농지의 개발과 FTA 등의 영향으로 점차 감소하고 있는 추세이므로 향후 관련 수요도 점차 감소할 것으로 전망된다.
임금수준
- 농업용 및 기타 기계장비설치·정비원의 평균연봉(중위값)은 3250만원 수준에 형성되어 있다. (자료: 워크넷 직업정보 2020년 기준)
준비방법
정규 교육과정
- 농기계, 관리기, 분무기, 살포기, 파쇄기, 손수레, 운반구 등 농업에 필요한 기계들의 고장을 진단하고 장비를 교체하고 정비하는 업무를 수행하려면 공업계 고등학교나 직업전문학교, 기능대학 등에서 엔진기관이나 기계 분야를 전공해야 한다. 공업계 고등학교나 공공직업훈련기관, 사설 정비학원에서 체계적으로 교육을 받고 농기계정비사의 자격증을 취득한 후에 농업기술센터, 농기계대리점, 기계정비센터 등에 취업할 수 있다.
직업훈련
문의기관
직업전망
직업전망
- 보상
-
일자리
전망 -
고용
안정 -
발전
가능성 -
근무
여건 -
직업
전문성 -
고용
평등 -
- 0%
- 25%
- 50%
- 75%
- 100%
차트분석
- 농업용 및 기타 기계장비설치·정비원의 임금은 평균에 준하고, 복리 후생은 다소 높은 편으로 나타났다.
- 업무에서 자율성 및 권한이 큰 편이며, 고용 시 성별에 따른 차이가 없는 편이다.
- 기술이 발전하며 장비들이 많아져 발전 가능성이 높은것으로 보인다.
- 좁고 위험한 환경에서 일을 하여 근무 여건이 낮은 것으로 나타난다.
직업선호특성
농업용 및 기타 기계장비설치·정비원을/를 선호하는 성별 비율은 ?
-
남자 74%
-
여자 26%
농업용 및 기타 기계장비설치·정비원을/를 선호하는 학교급별 비율은 ?
-
중학생14 ~ 16세 청소년42%
-
고등학생17~19세 청소년5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