응시자격
유사자격 소지자 | ① 기사+유사 직무분야 실무경력4년 ② 산업기사+유사 직무분야 실무경력5년 ③ 기능사+유사 직무분야 실무경력7년 ④ 동일 및 유사 분야 기술사 자격증 소지자 ⑤ 동일 및 유사 분야 외국자격 소지자 |
---|---|
관련학과 졸업자 | ① 관련학과 졸업자+실무경력6년 ② 3년제 전문대학 졸업자+실무경력7년 ③ 2년제 전문대학 졸업자+실무경력8년 ④ 기사 수준의 기술훈련과정 이수자+실무경력6년 ⑤ 업기사 수준의 기술훈련과정 이수자+실무경력8년 |
실무 경력자 | 유사 직무분야 실무경력9년 |
건축전기설비기술사 시험 내용
구분 | 시험과목 | 시험방법 | ||
---|---|---|---|---|
문제형식 | 문항수 | 시험시간 | ||
필기시험 | 1. 건축전기설비의 계획과 설계 2. 감리 및 의장 3. 기타 건축전기설비에 관한 사항 | 단답형 및 주관식 논술형 | - | 매 교시당 100분, 총 400분 |
실기시험 | 건축전기설비의 계획과 설계, 감리 및 의장, 그밖에 건축전기설비에 관한 전문 지식/기술 | 구술형 면접시험 | - | 30분 정도 |
건축전기설비기술사 합격 기준
필기시험 | 100점을 만점으로 하여 60점 이상 |
---|---|
실기시험 | 100점을 만점으로 하여 60점 이상 |
※ 필기시험 면제 : 필기시험에 합격한 자에 대하여는 필기시험 합격자 발표일로부터 2년간 필기시험을 면제한다.
건축전기설비기술사 응시자격
건축전기설비기술사 자격증은 응시 자격이 있다.
기술자격 소지자 | 관련학과 졸업자 | 순수 경력자 |
---|---|---|
· 동일(유사)분야 기술사 | · 대졸 + 6년 | 9년 (동일, 유사 분야) |
건축전기설비기술사 응시료
필기시험 : 67,800원 / 실기시험 : 87,100원
접수 주의사항
① 큐넷 홈페이지(www.Q-Net.or.kr/site/)에서 원서 접수한다.
② 원서 접수 시간은 원서접수 첫날 10:00부터 마지막 날 18:00까지이다
③ 원칙적으로는 원서 접수 일정 안에 접속하여, 원하는 장소와 함께 필기시험일을 정할 수 있다. 하지만 선착순 접수에다가 응시자가 몰릴 수 있으므로, 첫날 10시 정각에 맞추어 최대한 빠르게 접수하는 것을 추천한다.
④ 필기와 실기시험 모두, 응시자가 거주하는 도내 지역의 응시 인원이 마감될 수 있고, 이 경우 도 외로 실기시험을 보러가야 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실기 시험의 경우에는, 본 접수기간에 좀 더 빨리 접수할 수 있도록, 미리 기본정보를 입력할 수 있는 ’실기 사전 접수‘ 기간이 있다. 사전접수 기간은 실기시험 원서접수 기간 3~4일 전에 한국산업인력공단 홈페이지에 공지되며, 정확한 사항은 한국산업인력공단 큐넷 홈페이지에 문의하여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부득이하게 정원 초과로 접수가 마감되어 실기시험 접수를 하지 못한 경우, 산업인력공단에 문의해서, 언제 혹은 몇시에 접수 화면이 다시 열리는지 확인할 수 있다.
시험장을 바꾸거나 취소하는 응시자들이 있으므로, 접수 화면을 수시로 확인하는 것이 중요하다.
⑤ 큐넷에서 원서 사진 등록이 가능하며, 사이즈 90*120 이상 150*200이하(픽셀기준), dpi 300권장, 파일형식 jpg, 용량 200KB이하의 사진이 요구된다.
⑥ 휴일 등 시험원서 및 응시자격서류 접수 미실시
공단 창립기념일[3.18(목)], 어린이날[5.5(수)], 부처님오신날[5.19(수)] 및 토요일, 휴일은 시험원서 및 응시자격서류(방문)를 접수하지 않는다.
⑦ 필기시험 합격예정자 및 최종합격자 발표 시간은 해당 발표일 09:00이다.
시험일정명 | 접수일 | 시험일 | 합격자발표일 |
---|---|---|---|
국가기술자격 기술사 (2022년도 제128회) 필기 |
2022-06-08 ~ 2022-06-13 | 2022-07-02 |
2022-08-19 ~ |
국가기술자격 기술사 (2022년도 제127회) 실기(면접) |
2022-06-14 ~ 2022-06-17 | 2022-07-23 ~ 2022-08-02 |
2022-08-19 ~ |
국가기술자격 기술사 (2022년도 제128회) 실기(면접) |
2022-08-23 ~ 2022-08-26 | 2022-09-24 ~ 2022-10-05 |
2022-10-21 ~ |
건축전기설비기술사 자격증의 진로 및 전망
건축물 관련 전기설비관리업체, 한국전력공사를 비롯한 전기공사업체, 전기설비설계업체, 감리업체, 안전관리대행업체 등에 진출할 수 있다. 또는 직접 전기시설설계업체, 감리업체 등을 직접 운영하기도 한다.
건설경기의 활성화와 함께 앞으로 사무용 빌딩 뿐만 아니라 아파트, 개인주택에 이르기까지 생활환경의 개선과 통신망의 확충을 위하여 수용 전력량이 증가하고 전기공사가 늘어날 것으로 예상됨에 따라 건축전기설비관련 전문가의 수요도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
건축전기설기비술사 자격증 시험의 합격률은 얼마나 될까?
건축전기설비기술사 자격증 시험은 필기와 실기로 나누어 지는데, 필기의 경우는 2020년 기준 1,189명이 응시자 중 단 33명만 합격하여 2.80%로 평균 3.20%의 낮은 합격률을 보이고 있다. 실기의 경우 2020년도 기준 응시자 1,798명 중 950명이 합격해 49.20%로 평균52.80%의 합격률로 필기보다 합격률이 높다.
건축전기설비기술사 직업 만족도는?
좋은 전망과 연봉이 높다고 무조건 직업 만족도가 높은 것은 아니다. 하지만 건축전기설비기술사는 연봉도 높을 뿐만 아니라 직업 만족도까니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직업 만족도 조사결과 건축전기설비기술자가 한의사, 교수, 세무사, 초등학교 교장보다 높은 순위에 해당된다고 알려져 있다.
건축전기설비기술사는 정년이 정해져 있을까?
건축전기기술사 자격증과 건축설비산업기사의 차이점은 무엇일까?
건축전기설비기술사 시험 트렌드?
건축전기설비 기술사 시험 TIP!
건축전기설비기술사 자격증 취득은 매 교시당 100분씩 400분의 긴 시간동안 공학 기술에 대한 논술형 필기 시험을 응시하게 된다. 시험 공부를 하며 실전에 필요한 논술 능력을 높이기 위한 강의를 선택하는 것이 좋다.
건축 전기설비기술사 강의를 선택할 때, 본인의 수준을 정확히 알고 있는 것이 중요한데 관련학과를 졸업했거나 실무경력이 있는 경우에는 비전공자보다 더 쉽게 강의를 이해할 수 있으므로 자신의 실력에 맞는 진도의 강의를 선택해 수강하는 것이 좋다.
건축전기설비기술사 자격증 공부시 좋은 교재를 선택하는 TIP!
① 일부 건축전기설비기술사 교재에는 강의용 CD나 첨부 자료 CD가 딸려있다. 이러한 자료는 학습 내용에 대한 이해력을 높이기 위한 것으로 있는 것을 선택하는 것이 탁월하다.
② 건축전기설비기술사 문제는 특정 현상에 대해 설명을 해야 하는 유형이 많다. 그러므로 되도록 현상 설명 예시 문제가 많이 나와있는 교재를 선택해 대비하는 것이 좋다.
③ 높은 수준의 답안일수록 건축전비기술사 시험의 합격률이 높아지는 것이 당연하다. 이를 위해 두껍더라도 해설이 자세하게 되어있는 교재를 골라 기초를 탄탄히 쌓는 것을 추천한다.
④ 건축설비기술사 시험은 주관식 문제로 출제되므로 답을 조리 있게 작성하는 것이 중요한데, 이를 대비하기 위해서는 문제의 해설집이 부록으로 딸려있는 책으로 공부하는 것이 좋다.
⑤ 건축전기설비기술사 시험의 합격률을 높이는 방법은 기출문제를 정확하게 파악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서 영역별, 유형별로 해당 연도까지의 기출문제가 균형 있게 분포된 교재를 선택하는 것이 좋다.
건축전기설비기술사 가산점 및 우대사항
자격증명 | 가산점 | 직렬 | 직류 | 기타 우대사항 | |
---|---|---|---|---|---|
건축전기설비기술사 | 7급 ~ 9급 | 5% | 공업 | 전기 | - |
시설 | 건축 | ||||
방재안전 | 방재안전 | ||||
경찰 | 5점 | 경찰 | 전기 | ||
소방 | 5% | 소방 | 전기 |
건축전기설비기술사 자격증을 보유하고 있으면 연봉은 얼마 정도 될까?
건축전기설비기술사는 기술사 중에서도 최상위급으로 인정받는 만큼 연봉 또한 상당한 수준으로 받고 있다. 평균 연봉이 5,000만 원대이며, 본인의 경력이나 실무 능력에 따라 억대 연봉 또한 어렵지 않게 받을 수 있다.
건축전기기술사 업무 난이도는?
이 자격증을 취득한 사람들이 많이 도전한 자격증입니다 !
이 자격증을 취득하면 도전할 수 있는 직업입니다!
건설안전기술사, 건축기계설비기술사, 건축구조기술사, 건축전기설비기술사, 건설기계정비기능장, 건축일반시공기능장, 건축설비기사, 건설기계설비기사, 건설안전기사, 건축설비산업기사
직업정보건축감리기술자, 건축구조기술자, 건축사, 건축공학기술자, 가스ㆍ수도ㆍ전기 계기 검침원 및 안전점검원, 건축설계기술자, 건축시공기술자 및 견적원, 전기·가스·수도관리자, 전기설비조작원, 전기안전기술자
고객센터 : 1544-6333 ( AM 09:00 ~ PM 19:00 ) | FAX : 032-712-2742 |
Email : [email protected]
주소 : 경기도 부천시 조마루로385번길 92, 1901~1903호 (원미동, 부천테크노밸리 유1센터) |
우편번호 : 14558
대표 : 배성원 | 사업자등록번호 : 585-88-01930
통신판매업 신고번호 제 2020-경기부천-4494 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