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험 내용
구분 | 시험과목 | 시험방법 | ||
---|---|---|---|---|
문제형식 | 문항수 | 시험시간 | ||
필기시험 | ① 도면해독 ② 기계가공 ③ 측정 및 조립 | 객관식 4지 택일형 | 60문항 | 60분 |
실기시험 | 기계조립작업 | 작업형 | - | 4시간 |
합격기준
필기시험 | 100점을 만점으로 하여 60점 이상 |
---|---|
실기시험 | 100점을 만점으로 하여 60점 이상 |
응시료
• 필기시험 : 14,500원
• 실기시험 : 47,300원
준비물
번호 | 재료명 | 규격 | 단위 | 수량 | 비고 |
---|---|---|---|---|---|
1 | V블록 | 90。 | EA | 1 | |
2 | 기계리머 | Ø12H7 | EA | 1 | |
3 | 기계리머 | Ø4H7 | EA | 1 | |
4 | 기름숫돌 | 4각 | EA | 1 | |
5 | 깊이마이크로미터 | 0-25(0.01) | EA | 1 | |
6 | 나이프에지 | 100 | EA | 1 | |
7 | 내측마이크로미터 | 5-25(0.01) | EA | 1 | |
8 | 널링공구 | m0.3(P0.942) | EA | 1 | |
9 | 다이스및핸들 | M10*1.5 | 조 | 1 | |
10 | 다이얼게이지및스탠드 | 10(0.01) | 조 | 1 | |
11 | 돌리개 | Φ10-30 | EA | 1 | |
12 | 드릴 | Ø5.0 | EA | 1 | |
13 | 드릴 | Ø11.8 | EA | 1 | Φ11.9도 사용가능 |
14 | 드릴 | Ø6.6 | EA | 1 | |
15 | 드릴 | Ø8.5 | EA | 1 | |
16 | 드릴 | Φ4 | EA | 1 | |
17 | 드릴 | Ø3.8 | EA | 1 | |
18 | 드릴 | Ø5 | EA | 1 | |
19 | 드릴바이스 | 75 | EA | 1 | |
20 | 모떼기바이트 | 45。 | EA | 1 | |
21 | 모솔 | 100 | EA | 1 | |
22 | 바이트받침판 | 두께별 | EA | 1 | |
23 | 버어니어캘리퍼스 | 150 | EA | 1 | |
24 | 보안경,안전화,안전보호구 | 절삭작업용 | SET | 1 | |
25 | 보호판 | 알루미늄판 | EA | 1 | |
26 | 블록게이지 | C급 | 조 | 1 | |
27 | 센터펀치 | 100 | EA | 1 | |
28 | 손톱대및톱날 | 250 | 조 | 1 | 톱날약간 |
29 | 엔드밀 | Ø14 | EA | 1 | |
30 | 엔드밀 | Ø10 | EA | 1 | |
31 | 엔드밀 | Ø6 | EA | 1 | |
32 | 외경다듬질바이트 | 18*18*150 | EA | 1 | |
33 | 외경홈바이트 | t3 | EA | 1 | |
34 | 외경황삭바이트 | 18*18*150 | EA | 1 | |
35 | 외측마이크로미터 | 25-50(0.01) | EA | 1 | |
36 | 외측마이크로미터 | 0-25(0.01) | EA | 1 | |
37 | 육각L렌치 | M6용 | EA | 1 | |
38 | 절단바이트 | t3 | EA | 1 | |
39 | 정면밀링커터 | Φ90 | EA | 1 | |
40 | 줄 | 황목 | EA | 1 | |
41 | 줄 | 중목 | EA | 1 | |
42 | 줄 | 세목 | EA | 1 | |
43 | 직각정규 | 50*75 | EA | 1 | |
44 | 카운터보어 | M6용(Φ6.6*11) | EA | 1 | |
45 | 탭및핸들 | M10×1.5 | 조 | 1 | |
46 | 탭및핸들 | M6×1.0 | 조 | 1 | |
47 | 테스트인디케이터 | 0.01 | EA | 1 | 마그네틱베이스포함 |
48 | 평정 | 10㎜(폭) | EA | 2 | 홈따내기용 |
49 | 평행대 | 규격별 | 조 | 1 | |
50 | 평행클램프 | 75 | EA | 1 | |
51 | 하이트게이지 | 250 | EA | 1 | 측정지그포함 |
52 | 해머 | 250g | EA | 1 |
※ 2019년부터 시험방법이 다소 변경되오니 공지사항 및 공개과제를 꼭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 측정기는 반드시 아날로그 식이어야 하며, 디지털 측정기를 지참할 시 시험에 사용하실 수 없습니다.
상기 목록외 수험자가 기계조립기능사 시험과 관련 필요한 공구나 수량 등은 자유로이 준비하셔도 됩니다.
시험 중 수험자는 반드시 안전수칙을 준수해야하며, 작업 복장상태 정리정돈 상태, 안전사항 등이 채점 대상이 됩니다.
시험일정명 | 접수일 | 시험일 | 합격자발표일 |
---|---|---|---|
국가기술자격 기능사 (2022년도 제3회) 필기 |
2022-05-24 ~ 2022-05-27 | 2022-06-12 ~ 2022-06-18 |
2022-06-29 ~ |
국가기술자격 기능사 (2022년도 제0회) 실기(면접) |
2022-05-10 ~ 2022-05-13 | 2022-06-20 ~ 2022-07-01 |
2022-07-22 ~ |
국가기술자격 기능사 (2022년도 제3회) 실기(면접) |
2022-07-11 ~ 2022-07-14 | 2022-08-14 ~ 2022-08-31 |
2022-09-08 ~ |
국가기술자격 기능사 (2022년도 제4회) 필기 |
2022-08-02 ~ 2022-08-05 | 2022-08-28 ~ 2022-09-03 |
2022-09-21 ~ |
국가기술자격 기능사 (2022년도 제4회) 실기(면접) |
2022-09-26 ~ 2022-09-29 | 2022-11-06 ~ 2022-11-23 |
2022-12-02 ~ |
기계가공조립기능사 가산점 및 우대사항
자격증명 | 가산점 | 직렬 | 직류 | 기타 우대사항 | |
---|---|---|---|---|---|
기계가공조립기능사 | 9급 | 3% | 공업 | 일반기계, 농업기계, 운전, 항공우주 | - |
• 난이도 및 공부방법 등
기계가공조립기능사 필기과목은 기계재료 및 요소, 기계가공법 및 안전관리, 기계제도(CAD) 에서 출제된다. 다른 기능사와 똑같이 과락없이 60문제에서 60점이상 득점하면 합격이다. 어차피 실기에서 사용해야 할 내용들이기 때문에 정보처리기능사마냥 기출만 푸는 벼락치기는 하지 않는 것이 좋다.
(1) 기계재료 및 요소
각종 금속재료와 비금속재료들의 특징과 성질을 묻는 문제, 열처리, 합금등의 내용과 각종 기계요소[1]들이 출제되며 약간의 계산문제가 추가된다. 공업고등학교 교과서를 기준으로 하면 기계일반, 재료일반, 기계구조와 기능에서 공부한 내용이다.
(2) 기계제도(절삭부분)
제도통칙, 기계요소제도, 도면해독 분야에서 문제가 출제된다. 투상도, 단면도의 이름을 암기하고 3각법에 익숙해질 필요가 있다. 치수공차와 끼워맞춤 문제는 간단한 계산문제 이므로 포기하지 말것. 기하공차 기호와 각종 기계요소를 그릴때 사용하는 선[2]들도 암기하는 것이 좋으며 관련 교과서는 기계제도이다.
(3) 기계공작법
선반, 밀링, 연삭기, 드릴머신 등의 공작기계 사용법과 구성요소 명칭등이 출제된다. 상향절삭과 하향절삭을 구분하는 문제, 절삭속도를 구하는 계산문제도 출제되는 편. 관련된 공업고등학교 교과서는 기계공작법, 기계기초공작, 공작기계이다.
2.4. CNC공작법 및 안전관리
CNC선반과 머시닝센터의 사용법, G코드작성, 안전문제[3]들이 출제된다. G코드의 기능을 정확이 이해하는 것이 중요하며 실기시험에서도 많은 도움이 된다.
실기시험은 범용 공작기계 및 수공구를 이용하여 4시간안에 기계 부품을 만들어 조립하면 된다.
(1) 도면
주로 바이스가 출제가 되는 경향이 많다.
(2) 선반 가공
바이스에 축에 해당하는 1개의 부품을 만든다.
(3) 밀링 가공
바이스의 몸통과 지지대에 해당하는 3개의 부품을 만든다.
(4) 드릴링
몸통과 지지대에 있는 구멍을 드릴링 머신을 이용해 뚫는다.
(5) 기계 조립
축과 몸통과 지지대를 차례대로 끼워 본 다음 육각 볼트로 조이고 핀을 끼워 축이 고정되는지 확인한다. 핀이 끼워지지 않으면 드릴링으로 한번 더 뚫어준다. 조립 안되면 오작이고 핀이 끼워지지 않으면 오작이니 신중히 작업해야 한다.
• 합격생이 알아야 하는 정보
공작기계, 산업기계, 일반기계, 섬유기계, 인쇄기계 등 각종 기계를 제작, 생산하는 업체와 금속제품 제조업체 등으로 진출할 수 있다.
향후 기계조립분야 인력수요는 점차적으로 감소할 전망이다. 아직 수가공·범용공작 기계에 의한 기계조립이 일부 남아있긴 하지만, 대부분은 CNC공작기계에 의한 작업으 로 바뀌었다. 이에 따라 한번의 세팅(setting)으로 연속작업이 이루어지는 자동화 시스템에 의한 무인자동화가 진행되어 노동력절감이 이루어지고 있다. 따라서 종전 방식에 의한 기계조립 작업범위는 향후 주문 생산정도로 축소될 전망이다. 해당 자 격을 취득하려는 응시자도 매년 감소하는 추세이다.
이 자격증을 취득한 사람들이 많이 도전한 자격증입니다 !
이 자격증을 취득하면 도전할 수 있는 직업입니다!
메카트로닉스기사, 기계설계기사, 일반기계기사, 건설기계설비기사, 산업안전기사, 공조냉동기계기사, 동력기계정비기능사, 생산자동화산업기사, 기계조립산업기사, 기계설계산업기사
직업정보건설 및 광업기계설치 및 정비원, 자동차정비원, 건설기계공학기술자 및 연구원, 사무용기계공학기술자, 자동차조립원, 엔진기계공학기술자, 플랜트기계공학기술자, 전기부품·제품생산기계조작원, 기계공학 기술자ㆍ연구원, 건설기계운전원
고객센터 : 1544-6333 ( AM 09:00 ~ PM 19:00 ) | FAX : 032-712-2742 |
Email : [email protected]
주소 : 경기도 부천시 조마루로385번길 92, 1901~1903호 (원미동, 부천테크노밸리 유1센터) |
우편번호 : 14558
대표 : 배성원 | 사업자등록번호 : 585-88-01930
통신판매업 신고번호 제 2020-경기부천-4494 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