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험물기능사란?
위험물을 저장ㆍ취급ㆍ제조하는 제조소등에서 위험물을 안전하게 저장ㆍ취급ㆍ제조하고 일반 작업자를 지시 감독하며, 각 설비에 대한 점검과 재해 발생시 응급조치 등의 안전관리 업무를 수행하는 직무이다.
위험물기능사 수행직무
(1) 가스관로안전관리원: 가스관로의 안전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관로 순찰자의 활동을 감독하고 관로를 관리하는 제반업무를 수행한다.
(2) 가스시설안전관리원: 가스 생산시설에서의 각종 설비 및 작업원 안전, 가스 공급을 위한 배관망, 수용가 등에 대한 설비품질을 점검하고 안전을 진단한다.
(3) 방사선안전관리원: 방사선 노출지역에서 근무하는 작업자의 안전을 위하여 작업허가서 검토, 방사선계측기의 관리, 방사선 관리구역 내의 작업감독 및 작업조건개선 등 방사선 안전관리에 관련된 업무를 수행한다.
(4) 방사성폐물질관리원 원자력 발전소에서 발생하는 각종 방사성 물질의 처리 및 폐기물의 관리를 위한 제반업무를 수행한다.
(5) 소수력발전전기설비안전관리원: 소수력발전 전기설비의 유지 및 운용과 전기수용설비 및 비상용 예비발전 설비의 안전관리를 실시한다.
(6) 원자력안전관리원: 원자력발전소의 건설 및 운전과정에서의 안전한 시공 및 가동 대책과 방사선안전관리에 관한 종합계획을 수립한다.
(7) 위험물취급원: 위험물이 들어있는 컨테이너를 안전하게 하역하고 보관하기 위한 안전관리를 실시한다.
위험물기능사 특징
(1) 기능사 시험의 경우에는 시험장에서 CBT(Computer Based Test) 형식으로 이루어진다.
(2) 2020년부터 복합형(필답형+작업형)으로 시행되던 기존의 실기시험이 개정되어 필답형으로만 시행된다(작업형 폐지).
(3) 2012년부터 위험물기능사(제1류), 위험물기능사(제2류), 위험물기능사(제3류), 위험물기능사(제4류), 위험물기능사(제5류), 위험물기능사(제6류) 종목이 위험물기능사로 통합되어 시행되고 있다.
▼ 관련학과 / 관련 직업 / 관련 자격증
관련학과 | 관련직업 | 관련 자격증 |
---|---|---|
(안경)광학과 기계공학과 메카트로닉스(기전)공학과 방사선학과 보건관리학과 기계설계공학과 기계시스템공학과 기계융합공학과 자동화시스템과 지능로봇과 컴퓨터응용기계과 기계과 | 위험관리원 품질관리사무원 비파괴검사원 산업안전원 소방공학기술자 건축안전·환경·품질·에너지관리기술자 에너지시험원 및 진단전문가 산업공학기술자 에너지공학기술자 조선해양공학기술자 자동차공학기술자 | 가스기능사 가스기사 전기기능사 가스산업기사 건설안전기사 건설안전산업기사 광산보안기사 광산보안산업기사 기계안전기술사 산업안전기사 산업안전산업기사 |
관련부처 | 소방청 | 시행기관 | 한국산업인력공단 |
---|
위험물기능사 시험내용
구분 | 시험과목 | 시험방법 | ||
---|---|---|---|---|
문제형식 | 문항수 | 시험시간 | ||
필기시험 | ①화재예방과 소화방법 ②위험물의 화학적 성질 및 취급 | 객관식 4지 택일형 | 60문항 | 60분 |
실기시험 | 위험물 취급 실무 | 필답형 | - | 1시간 30분 |
위험물기능사 합격기준
필기시험 | 100점을 만점으로 하여 과목당 40점 이상, 전과목 평균 60점 이상 |
---|---|
실기시험 | 100점을 만점으로 하여 60점 이상 |
위험물기능사 응시료 및 준비물
필기시험 | 14,500원 | 실기시험 | 17,200원 |
---|---|---|---|
준비물 | ①신분증 ②수험표 ③검은색 볼펜 ④공학용 계산기 |
시험일정명 | 접수일 | 시험일 | 합격자발표일 |
---|---|---|---|
국가기술자격 기능사 (2022년도 제3회) 실기(면접) |
2022-07-11 ~ 2022-07-14 | 2022-08-14 ~ 2022-08-31 |
2022-09-08 ~ |
국가기술자격 기능사 (2022년도 제4회) 필기 |
2022-08-02 ~ 2022-08-05 | 2022-08-28 ~ 2022-09-03 |
2022-09-21 ~ |
국가기술자격 기능사 (2022년도 제4회) 실기(면접) |
2022-09-26 ~ 2022-09-29 | 2022-11-06 ~ 2022-11-23 |
2022-12-02 ~ |
위험물기능사 난이도는 어떨까?
위험물기능사 준비 시 소방설비기사도 병행하면 좋다.
위험물기능사 vs 소방설비기사 어떤 것을 먼저 딸까?
위험물기능사 취득 후 안전관리자 선임이 가능할까?
위험물기능사 취득 후 화생방병(화학병) 지원
위험물기능사와 함께 취득하면 좋은 자격증
위험물기능사 합격 Tip
위험물기능사 자격은 별다른 응시 제약이 없고 관련 직종으로 진출하기에 좋은 자격증이기 때문에 점차적으로 응시자가 늘어날 만큼 인기를 끌고 있다. 또한, 위험물산업기사와 달리 일반화학 과목이 없기 때문에 공부하기는 쉬운 편이라고 할 수 있다. 하지만, 각 과목의 구성 요소 모두가 암기를 해야 하는 생소한 용어로 이루어져 있어 매번 낮은 합격률을 기록하는 시험이다. 자주 나오는 위험물의 성상과 성질, 그리고 반응식들은 필수적으로 암기를 하는 것이 좋다.
위험물기능사 필기시험 Tip
사지선다형 객관식이기 때문에 전체의 내용을 완전히 암기하며 공부하는 것보다는, 약 5개년 정도의 자료(약 15~20개)를 반복해서 공부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화재예방과 소화방법]
생소하긴 하지만 출제되는 부분이 고정되어 있어 숫자만 잘 외우면 무난하다.
[위험물의 성질과 취급]
매우 중요한 과목으로 공부할 양이 많다. 특수인화물, 알코올류, 제1석유류, 제2석유류, 제3석유류, 제4석유류, 동식물유류에 각각 무엇이 포함되며, 각각 지정수량은 얼마인지, 그리고 특수인화물과 제1석유류는 인화점까지 외우는 것이 좋다.
위험물기능사 실기시험 Tip
실기시험은 주관식으로, 필기에서 공부한 내용이 단답형으로 출제되는 것이기 때문에 필기를 집중적으로 공략하여 공부하는 것이 많은 도움이 된다. 위험물의 저장·취급·운반·운송 기준에 대해 평가하며, 손으로 직접 많이 써보고 외우는 것이 효과적이다. 일부 계산문제에서 서술형처럼 풀이 과정을 요구하기도 하므로 산업인력공단에서 지정한 공학용 계산기를 지참하는 것을 추천한다.
기능사 시험의 특성상 이론을 깊이 파고들어 공부하기보다는 기출문제를 풀면서 자주 출제된 문제들 위주로 정리를 하고, 관련된 해설을 충분히 읽어주면, 후일 자연스럽게 이해가 되고 문제 자체를 암기하는데 많은 도움을 받을 수 있다. 출제된 문제의 답도 중요하지만 그 문제와 연관된 해설이 더욱 중요하기 때문에 폭넓게 공부하는 것이 도움이 된다. 또한 1류~6류 위험물을 정확하게 암기된 상태여야 확신을 갖고 문제를 풀 수 있다.
위험물기능사 시험 시 참고사항
①실기시험은 검은색 펜만 사용할 수 있다.(색깔펜, 연필 등 불가) 그래서 공부할 때부터 검정펜만 사용해 보는 것을 추천한다.
②시험 당일 답안을 잘못 작성했다면, 두줄로 삭선하고 다시 작성하면 된다. 또한 시험지 하단 약 1/5정도는 연습란으로 활용이 가능하므로 풀이를 미리 작성해 볼 수 있다.
③허용된 공학용 계산기만 사용이 가능하다.
*카시오 : FX-901~999, FX-501~599, FX-301~399, FX-80~120
*샤프 : EL-501~599, EL-5100, EL-5230, EL-5250, EL-5500
*유니원 : UC-600E, UC-400M, UC-800X
*캐논 : F-715SG, F-788SG, F-792SGA
위험물기능사 가산점 및 우대사항
자격증명 | 가산점 | 직렬 | 직류 | 기타 우대사항 | |
---|---|---|---|---|---|
위험물기능사 | 9급 | 3% | 공업 | 화공 | - |
소방 | 1% | 소방 | 위험물 |
위험물기능사 자격증 활용도
위험물기능사를 취득하면,
①위험물 취급자격을 얻게 되고, 위험물안전관리자로 선임될 수 있다. 위험물안전관리법에 의해 지정수량 이상의 위험물을 저장, 취급하는 사업체에서는 의무적으로 자격증 취득자를 채용하여 위험물안전관리자로 선임해야 한다.
위험물 취급자격자의 구분 | 취급할 수 있는 위험물 | |
---|---|---|
1.국가기술자격법에 의하여 위험물의 취급에 관한 자격을 취득한 자 | 위험물기능장 | 시행령 별표 1의 모든 위험물 |
위험물산업기사 | ||
위험물기능사 | ||
2.소방청장이 실시하는 안전관리자 교육 이수자 | 시행령 별표 1의 위험물 중 제4류 위험물 | |
3.소방공무원 경력자(3년 이상) |
②소방기술 인정자격을 신청 및 발급받아 소방업체의 기계분야 보조인력으로 소방 업무를 수행할 수 있다.
위험물기능사 자격증 보유자와 향후전망
①‘2021년도 국가기술자격 통계연보’에 따르면, 자격증 취득자는 총 133,664명이다.
~2016년 | 2017년 | 2018년 | 2019년 | 2020년 |
---|---|---|---|---|
116,374 | 4,155 | 4,603 | 4,968 | 3,564 |
②전문가들은 향후 10년간 해당 자격증을 활용한 고용이 증가할 것으로 전망한다. 경제가 발전하고 국민소득이 높아질수록 생명과 건강한 삶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며, 이는 산업안전에 관련된 관심의 증가로 이어진다. 실제로, 2022년 1월 27일 중대재해 처벌법이 시행됨에 따라 각 기업은 안전보건관리체계 구축이 의무화되는 등 산업재해에 대한 사회적 기준이 높아지고 있다. 이에 위험물기능사의 가치는 지속적인 향상이 전망된다. 뿐만 아니라 산업체에서 사용하는 발화성, 인화성 물품을 위험물이라 하는데 산업의 고도성장에 따라 위험물의 수요와 종류가 많아지고 있어 위험성 역시 대형화되어가고 있고 이에 따라 위험물을 안전하게 취급·관리하는 전문가의 수요는 꾸준하게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위험물기능사의 상위 자격증은?
위험물기능사의 상위 자격증은, 위험물산업기사와 위험물기능장이 있다.
구 분 | 응 시 자 격 |
---|---|
위험물기능장 | -위험물기능사 + 7년 이상 실무에 종사한 자 / 위험물산업기사 + 5년 이상 실무에 종사한 자 |
위험물산업기사 | -위험물기능사 + 1년 이상 실무에 종사한 자 |
위험물기능사 취득 후 어떤 업무를 수행하게 될까?
위험물기능사 취득 후 거의 모든 제조업체에 근무할 수 있지만, 특히 산업재해가 일어날 가능성이 있는 화학·섬유·석탄공업, 목재 및 가공공업, 플라스틱·금속공업, 기계 및 장비 제조업, 건설업, 금속·비금속·광물 제조업 등의 분야에서 일을 할 수 있다. 또한 위험물 제조 및 취급업체나 도료제조, 고무제조, 금속제련, 유기성합물제조, 염료제조, 화장품제조, 인쇄잉크 제조 관련 업체 등에서 취업할 수 있다.
이외에도 고용노동부 산업재해예방과 보상을 담당하는 부서, 한국산업안전보건공단, 민간재해 예방단체(대한산업안전협회), 안전관리대행 전문기관 등에 취업이 가능하다. 다만, 위험물 기능사는 해당 자격증만 취득해서 자신이 원하는 곳의 취업을 위해 활용하기에는 다소 무리가 있을 수 있으며, 서로 시너지 효과를 발휘하는 계열의 법정 선임 자격을 여러 가지 갖추고 있으면, 보다 더 취업에 유리하다.
위험물기능사 구인 구직 관련 정보는 얼마나 될까?
① ‘국가기술자격 종목별 채용시 활용도 조사결과(한국산업인력공단/’21.10.)‘ 에 따르면, 채용공고에서 ’위험물기능사‘ 채용(우대)건수는 다음과 같다.
구 분 | 계 | 2018년 | 2019년 | 2020년 | ||||
---|---|---|---|---|---|---|---|---|
구인 건수 | 구인 인원 | 구인 건수 | 구인 인원 | 구인 건수 | 구인 인원 | 구인 건수 | 구인 인원 | |
위험물기능사 | 7990건 | 1,314명 | 288건 | 501명 | 236건 | 391명 | 275건 | 422명 |
② 2022년 3월 워크넷에서 ’위험물기능사 자격증 우대‘로 조건 검색한 결과 80건의 채용정보가 등록되어 있고, 정규직은 63건이다.
위험물기능사 연봉은 어떻게 될까?
① 국가기술자격 종목별 채용시장 활용도 조사결과(’21.10./한국산업인력공단)
구 분 | 2018년 | 2019년 | 2020년 |
---|---|---|---|
위험물기능사 채용(우대) 요건 직장의 제시임금 | 213만원 | 232만원 | 240만원 |
② 진출 가능 직종인 ‘위험관리원’을 기준, 하위(25%) 3,300만원, 중위 3,600만원, 상위(25%) 4,000만원으로 조사되었다.
*재직자를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 결과로 경력, 근무업체 규모 등에 따라 차이가 있을 수 있음(워크넷)
위험물기능사 근무환경
일반적으로 모든 산업현장에서 작업자의 안전한 작업 활동이 이루어지도록 잠재된 위험요인을 발굴·제거하는 사고예방 활동을 하게 된다. 산업현장을 점검하거나 위험물을 관리하는 과정에서 많은 위험에 노출되기 마련이므로 안전을 위해 보호장비를 반드시 착용해야 한다.
유효기간
해당 자격증은 유효기간이 없는 자격증으로, 만료되지 않는 자격이다.
이 자격증을 취득한 사람들이 많이 도전한 자격증입니다 !
위험물기능장, 소방설비산업기사(기계분야), 위험물산업기사, 소방설비산업기사(전기분야), 산업안전기사, 전기기능사, 가스기능사, 에너지관리기능사, 소방설비기사(기계분야), 소방설비기사(전기분야)
직업정보위험관리원, 건축안전·환경·품질·에너지관리기술자, 산업안전관리원, 비파괴검사원, 산업공학기술자, 석유화학기술자, 소방공학기술자, 에너지시험원, 화학공학기술자, 화학공학시험원
고객센터 : 1544-6333 ( AM 09:00 ~ PM 19:00 ) | FAX : 032-712-2742 |
Email : [email protected]
주소 : 경기도 부천시 조마루로385번길 92, 1901~1903호 (원미동, 부천테크노밸리 유1센터) |
우편번호 : 14558
대표 : 배성원 | 사업자등록번호 : 585-88-01930
통신판매업 신고번호 제 2020-경기부천-4494 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