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험내용
구분 | 시험과목 | 시험방법 | ||
---|---|---|---|---|
문제형식 | 문항수 | 시험시간 | ||
필기시험 | 태양광 발전 설비 | 객관식 4지 택일형 | 60문항 | 1시간 |
실기시험 | 태양광 발전설비 실무 | 필답형 | - | 1시간 30분 정도 |
합격기준
필기시험 | 100점을 만점으로 하여 과목당 40점 이상, 전과목 평균 60점 이상 |
---|---|
실기시험 | 100점을 만점으로 하여 60점 이상 |
응시료
ㆍ 필기시험 : 14,500원
ㆍ 실기시험 : 17,200원
준비물
① 신분증 ② 수험표 필기시험의 경우, 종이 시험지에 시험을 보는 것이 아니라 PC로 시험을 진행하기 때문에 별다른 준비물은 없지만, 시험 전 한 번 이상 확인하는 것을 추천한다. 준비물의 경우, 큐넷>기술자격시험>실기시험안내>수험자 지참 준비물 항목에서 ‘기능사’, ‘신재생에너지발전설비기능사(태양광)’ 항목 선택 후 준비물을 확인할 수 있다. 지참 준비물 등은 문제의 변경이나 기타 다른 사유로 수량 및 품목 등이 변경될 수도 있으므로 정기적인 확인은 필수이다.
시험일정명 | 접수일 | 시험일 | 합격자발표일 |
---|---|---|---|
국가기술자격 기능사 (2022년도 제2회) 실기(면접) |
2022-04-26 ~ 2022-04-29 | 2022-05-29 ~ 2022-06-15 |
2022-06-24 ~ |
국가기술자격 기능사 (2022년도 제3회) 필기 |
2022-05-24 ~ 2022-05-27 | 2022-06-12 ~ 2022-06-18 |
2022-06-29 ~ |
국가기술자격 기능사 (2022년도 제0회) 실기(면접) |
2022-05-10 ~ 2022-05-13 | 2022-06-20 ~ 2022-07-01 |
2022-07-22 ~ |
국가기술자격 기능사 (2022년도 제3회) 실기(면접) |
2022-07-11 ~ 2022-07-14 | 2022-08-14 ~ 2022-08-31 |
2022-09-08 ~ |
국가기술자격 기능사 (2022년도 제4회) 필기 |
2022-08-02 ~ 2022-08-05 | 2022-08-28 ~ 2022-09-03 |
2022-09-21 ~ |
국가기술자격 기능사 (2022년도 제4회) 실기(면접) |
2022-09-26 ~ 2022-09-29 | 2022-11-06 ~ 2022-11-23 |
2022-12-02 ~ |
태양광발전설비기능사(태양광) 합격률은 어떻게 될까?
최근 5년간 필기합격률의 경우 평균 60%중반대이고, 실기합격률의 경우 평균 30% 초중반대이다.
효율적으로 공부하는 방법
① 필기시험
2013년에 신규로 만들어진 자격증이다 보니 문제유형이 제대로 확립되지 않아 데이터가 별로 없다. 신재생에너지 개요 부분은 잘 안나오고 모듈, 인버터. 관련기기 및 부품, 시공 쪽이 잘 나온다. 에너지와 발전으로 연관되는 대표적인 것이 전기이기 때문에 전기기능사를 공부해 두면 필기에서도 실기에서도 상당히 도움이 된다. 기출문제는 2013년 5회, 2015년 5회 2016년 2회까지 총 5개밖에 구할 수 없지만 그것들만 외워도 합격할 수 있는 정도이다. 2017년 까지는 모두 기출 암기로 가능했다. 다만 기출에서 안나왔던 것들도 제법 있으므로 책을 보는 것이 좋다. 태양광 모듈쪽만 보아도 상당히 도움이 된다.
신재생에너지발전설비기능사(태양광) 기출문제 풀어보기 : 신재생에너지발전설비기능사(태양광) 기출문제 (quz.co.kr)
② 실기시험
실기시험은 작업형이 아닌 서술형 시험이다. 출제 과목은 기초적인 전기이론, 태양광 기초이론과 함께 시공과 유지보수 항목을 실무라는 이름 하나로 통합하여 문제가 출제된다. 바이패스 다이오드 그리기, 발전소의 종류 서술, 감전방지대책 서술, 추락방지대책 서술, 제출해야 할 서류목록 서술, 직렬/병렬 결선방법, 점검 항목 정도의 시험을 본다. 책은 두껍지만 외워야 하는 항목은 생각보다 적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러니 책을 여러 번 정독해서 시험을 봐야한다. 물론 필기보다 몇 배는 어렵다. 필기가 객관식 보기에서 아닌 것을 골라내는 식이라면 실기는 서술형으로 쓰는 식이다.
취득 후 하는 일
유효기간
해당 자격증은 유효기간이 없는 자격증으로, 만료되지 않는 자격이다.
1 |
필기원서접수 |
Q-net을 통한 인터넷 원서접수 |
---|---|---|
필기접수 기간내 수험원서 인터넷 제출 | ||
사진(6개월 이내에 촬영한) 3.5cm*4.5cm,120*160픽셀 사진파일(JPG)) 수수료 전자결제 | ||
시험장소 본인 선택(선착순) | ||
2 |
필기시험 |
수험표, 신분증, 필기구(흑색 싸인펜등) 지참 |
3 |
합격자발표 |
Q-net을 통한 합격확인(마이페이지 등) |
응시자격 제한종목(기술사, 기능장, 기사, 산업기사, 서비스 분야 일부종목)은 사전에 공지한 시행계획 내 응시자격 서류제출 기간 이내에 반드시 응시자격 서류를 제출하여야 함 | ||
4 |
실기원서 접수 |
실기접수기간내 수험원서 인터넷(www.Q-net.or.kr) 제출 |
사진(6개월 이내에 촬영한 3.5cm*4.5cm픽셀 사진파일JPG, 수수료(정액) | ||
시험일시, 장소 본인 선택(선착순) | ||
5 |
실기시험 |
수험표, 신분증, 필기구 지참 |
6 |
최종합격자발표 |
Q-net을 통한 합격확인(마이페이지 등) |
7 |
자격증 발급 |
(인터넷)공인인증
등을 통한 발급, 택배가능 |
이 자격증을 취득한 사람들이 많이 도전한 자격증입니다 !
이 자격증을 취득하면 도전할 수 있는 직업입니다!
원자력발전기술사, 산업기계설비기술사, 건설기계기술사, 기계기술사, 건설기계정비기능장, 원자력기사, 신재생에너지발전설비기능사(태양광), 열처리기능사, 신재생에너지발전설비산업기사
직업정보건축사, 자연과학연구원, 냉난방 및 공조공학기술자, 지열시스템연구 및 개발자, 건축감리기술자, 건축구조기술자, 건축설계기술자, 건축설비기술자, 태양열연구 및 개발자, 태양광발전연구 및 개발자
고객센터 : 1544-6333 ( AM 09:00 ~ PM 19:00 ) | FAX : 032-712-2742 |
Email : [email protected]
주소 : 경기도 부천시 조마루로385번길 92, 1901~1903호 (원미동, 부천테크노밸리 유1센터) |
우편번호 : 14558
대표 : 배성원 | 사업자등록번호 : 585-88-01930
통신판매업 신고번호 제 2020-경기부천-4494 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