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험내용
구분 |
시험과목 |
시험방법 |
||
---|---|---|---|---|
문제형식 |
문항수 |
시험시간 |
||
필기시험 |
① 귀금속 재료
② 귀금속 가공
③ 작업안전
④ 제품관리 |
객관식 4지 택일형 |
60문항 |
60분 |
실기시험 |
귀금속가공 실무 |
작업형 |
- |
6시간 정도 |
시험과목별 NCS분류
◎ 국가기술자격의 현장성과 활용성 제고를 위해 국가직무능력표준(NCS)를 기반으로 자격의 내용
(시험과목, 출제기준 등)을 직무 중심으로 개편하여 시행합니다.(적용시기 2020.1.1.부터)
| □ 필기시험 |
|
|
| □ 실기시험 |
|
| |
| 과목명 | 활용 NCS 능력단위 | NCS 세분류 |
| 과목명 | 활용 NCS 능력단위 | NCS 세분류 | |
---|---|---|---|---|---|---|---|---|
| 귀금속 재료, 귀금속 가공, 작업안전, 제품관리 | 귀금속 가공 안전관리 |
| 귀금속가공 실무 | 귀금속 왁스카빙 | |||
귀금속 사출 |
| 귀금속 조립가공 | ||||||
귀금속 솔버프 연마 |
| 귀금속 가공안전 관리 | ||||||
귀금속 조립 가공 |
| 귀금속 펜던트 세공 | ||||||
귀금속 펜던트 세공 |
| 귀금속 기초 조각 | ||||||
귀금속 왁스카빙 |
| 귀금속 솔버프 연마 | ||||||
귀금속 기초 조각 |
| 주얼리 제품 관리 | ||||||
주얼리 제품관리 |
|
|
|
| ||||
유색보석 특성 정립 |
|
|
☞ NCS 세분류를 클릭하시면 관련 정보를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 국가직무능력표준(NCS)란? 산업현장에서 직무를 수행하기 위해 요구되는 지식·기술·태도 등의 내용을 국가가
산업부문별·수준별로 체계화한 것 출처 : NCS(https://www.ncs.go.kr)
합격기준
필기시험 |
100점을 만점으로 하여 60점 이상 |
---|---|
실기시험 |
100점을 만점으로 하여 60점 이상 |
출제경향
- 필기시험의 내용은 고객만족>자료실의 출제기준을 참고바랍니다.
- 실기시험의 내용은 주어진 귀금속 재료를 이용하여 문제요구 및 도면과 같은 내용의 세공작업을 수행하는
능력을 평가합니다.
응시료
ㆍ 필기시험 : 14,500원
ㆍ 실기시험 : 47,900원
준비물
번호 | 재료명 | 규격 | 단위 | 수량 | 비고 |
---|---|---|---|---|---|
1 | 실톱대 | 금은세공용 | EA | 1 | 실톱날 포함 |
2 | 핀셋 | 금은세공용 | 조 | 2 | 작업물 고정 및 땜작업용 |
3 | 줄 | 금은세공용 | 조 | 1 | 줄 세트(원형, 삼각, 사각, 반원, 평줄 등) |
4 | 집게 | 금은세공용 | 조 | 1 | 각종 |
5 | 사포 | 임의 | 장 | 1 | 사포대 포함 |
6 | 망치 | 금은세공용 | 조 | 1 | 벼림망치 |
7 | 버니어캘리퍼스 | 150(1/10∼1/20)㎜ | EA | 1 | |
8 | 강철자 | 300mm | EA | 1 | |
9 | 모루 | 금은세공용 | EA | 1 | 모루 또는 정반 |
10 | 직가위(땜가위) | 금은세공용 | EA | 1 | |
11 | 땜은 | 은땜용 | G | 1 | 강땜, 중땜, 약땜 |
12 | 확대경 | x10 | EA | 1 | 루페 |
13 | 붕사그릇 | 소형 | EA | 1 | |
14 | 지환봉 | 금은세공용 | EA | 1 | 크기별 각종 |
15 | 타올 | 일반용 | 장 | 1 | |
16 | 내화벽돌 | 별집형,210x100x60mm | 장 | 1 | |
17 | 핸드드릴 | 소형 | EA | 1 | 1,2,3㎜ 등의 드릴날 포함 |
18 | 받침대(태장대) | 금은세공용 | EA | 1 | |
19 | 작업복 | 금은세공용 | 벌 | 1 | 앞치마 등 |
20 | 휴대용가스토치 | 금은세공용 | EA | 1 | |
21 | 알콜램프 | 금은세공용 | EA | 1 | 알코올 포함 |
22 | 삼발 | 금은세공용 | EA | 1 | |
23 | 석면철사망 | 금은세공용 | EA | 1 | |
24 | 비이커 | 500㎖ | EA | 1 | |
25 | 물그릇 | 소형 | 개 | 1 | |
26 | 방진 마스크 | 연마용 | EA | 1 | |
27 | 내화벽돌 | 별집형,210x100x60mm | 장 | 1 | 열처리 및 땜작업용 |
28 | 니퍼 | 소형 | EA | 1 | |
29 | 보안경 | 작업용 | EA | 1 | 작업보호구 |
1. 시험은 6시간으로, 사전에 수험자가 간단한 중식 및 음료를 준비하여 시험장 내에서 일괄 식사할 수 있습니다.
2. 반드시 안전사항을 준수하여 작업해야 하며, 검정장비 등을 조심스럽게 취급하여 기재의 손상이 발생하지 않도록 주의합니다.
시험일정명 | 접수일 | 시험일 | 합격자발표일 |
---|---|---|---|
국가기술자격 기능사 (2022년도 제4회) 필기 |
2022-08-02 ~ 2022-08-05 | 2022-08-28 ~ 2022-09-03 |
2022-09-21 ~ |
국가기술자격 기능사 (2022년도 제4회) 실기(면접) |
2022-09-26 ~ 2022-09-29 | 2022-11-06 ~ 2022-11-23 |
2022-12-02 ~ |
귀금속가공기능사와 보석가공기능사의 차이점은?
귀금속가공기능사는 귀금속으로(보석을 이용하여도 포함) 장신구를 만드는 사람이고, 보석가공기능사는 보석을 기계로 컷팅하고 다시 연마하여 더 좋은 상품으로 만드는 기술자이다.
② 실기시험
공부하면 좋을 내용
1. 점의 성질 - 크기는 없고 위치만 가리킨다.
2. 선의 성질 - 수평선, 수직선, 사선, 곡선, 와선(복잡 불확실)
3. 명도와 채도 차이 - 회색바탕에 노란글씨가 잘 보이는 이유는? 채도차이 때문
4. 멘셀의 색상환 표기법
5. 투시도법의 주요기호 - GP, PP, GL, HL, E, VP
6. 투시도법의 기하학적용어 GL(기선), PP(화면), GP(기면), EP(시점)
7. 톱작업시 주의점 - 60도로 자리잡은 후 세워서 작업한다.
8. 줄 - 단목, 복목, 귀목(왁스나 가죽 등 연한 금속의 절삭) 파목
9. 스트리핑 작업시 유의점 - 환기가 잘 되는 곳, 피부에 뭍으면 바로 씻는다. 세 명 이상 해야 한다. (X)
10. 은땜 : 녹는점 700-800도, 파라디윰이 합금되었을 경우 내화성 강해짐.
11. 은땜의 성분- 은, 구리 아연
12. 클리비지, 깨짐이 없는 보석(단사정계) - 경옥(제이다이트), 연옥(네프라이트)
13. 오팔의 효과 - 광학 효과
14. 58면이 있는 보석 - 라운드 브릴리언트 컷
15. 다이아몬드 - 등축정계
16. 귀금속의 회수 - 왕수법 (질산1 : 염산3)
17. 탄소강과 고탄소강 사용처 알아두기
18. 금땜 - 아연 넣으면 유동성이 좋아진다.
19. (파이로프, 로돌라이트, 알만다이트)가닛의 구별(물리적 성질 및 색상이 공통되는 부분이 많아 주의)
20. 안전 설비
21. 소재의 접착 부분에 침식 작용이 생기지 않는 땜은? 파라듐납
22. 백금 중 은변색방지 및 광택이 좋아 도금용으로 쓰이는 것은? 로듐
23. 따뜻한 느낌의 색깔 - 빨강, 주황
24. 압연기 작업 - 두께가 옆으로 길어진다. (X)
25. 모루위에 금속을 올려놓고 두들겨 늘리고 평평하게 하는 작업 - 단조작업
26. 황금분할 - 1:1.618
27. 별조각 - 삼각정
28. 라피스 라줄리에 파란색이 나는 이유는 이 성분 때문이다. - 라주라이트
29. 금속용해시 필요 없는 도구는?
30. 배럴연마시 물의 기능 - 연마작용, 윤활작용 등 공부하기
31. 버니어 캘리퍼스의 아들자 눈금(버니어), 어미자 눈금으로 잴 수 없는 것 - 둘레, 각도
32. 정밀주조의 정의
33. 왁스의 용해 온도 - 70~80도
34. 작업장 안전 수칙
취득 후 하는 일
① 귀금속공방, 금은세공업체, 귀금속가공업체, 장신구류제조업체 및 판매업체, 귀금속 판매업체 등에 취업하거나 자영업을 할 수 있다.
② 귀금속 및 보석의 종류와 특성 등 관련지식을 바탕으로 제작도면 또는 고객의 요청에 따라 각종 수공구와 장비를 이용하여 각종 귀금속 장신구를 가공 및 제작 또한 수리 업무를 담당한다.
유효기간
해당 자격증은 유효기간이 없는 자격증으로, 만료되지 않는 자격이다.
1 |
필기원서접수 |
Q-net을 통한 인터넷 원서접수 |
---|---|---|
필기접수 기간내 수험원서 인터넷 제출 | ||
사진(6개월 이내에 촬영한) 3.5cm*4.5cm,120*160픽셀 사진파일(JPG)) 수수료 전자결제 | ||
시험장소 본인 선택(선착순) | ||
2 |
필기시험 |
수험표, 신분증, 필기구(흑색 싸인펜등) 지참 |
3 |
합격자발표 |
Q-net을 통한 합격확인(마이페이지 등) |
응시자격 제한종목(기술사, 기능장, 기사, 산업기사, 서비스 분야 일부종목)은 사전에 공지한 시행계획 내 응시자격 서류제출 기간 이내에 반드시 응시자격 서류를 제출하여야 함 | ||
4 |
실기원서 접수 |
실기접수기간내 수험원서 인터넷(www.Q-net.or.kr) 제출 |
사진(6개월 이내에 촬영한 3.5cm*4.5cm픽셀 사진파일JPG, 수수료(정액) | ||
시험일시, 장소 본인 선택(선착순) | ||
5 |
실기시험 |
수험표, 신분증, 필기구 지참 |
6 |
최종합격자발표 |
Q-net을 통한 합격확인(마이페이지 등) |
7 |
자격증 발급 |
(인터넷)공인인증
등을 통한 발급, 택배가능 |
이 자격증을 취득하면 도전할 수 있는 직업입니다!
금속제련기술사, 금속재료기능장, 금속가공기술사, 금속재료기술사, 귀금속가공기능장, 금속재료기사, 귀금속가공기능사, 금속도장기능사, 보석감정사, 귀금속가공산업기사
직업정보금속재료공학시험원, 금속가공관련검사원, 주얼리디자이너, 보석디자이너, 3D프린팅모델러, 금속공학기술자, 귀금속 및 보석세공원, 보석감정사, 공예원, 시각디자이너
고객센터 : 1544-6333 ( AM 09:00 ~ PM 19:00 ) | FAX : 032-712-2742 |
Email : [email protected]
주소 : 경기도 부천시 조마루로385번길 92, 1901~1903호 (원미동, 부천테크노밸리 유1센터) |
우편번호 : 14558
대표 : 배성원 | 사업자등록번호 : 585-88-01930
통신판매업 신고번호 제 2020-경기부천-4494 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