응시자격
유사자격 소지자 |
1. 기능사 + 유사 직무분야 실무경력 1년 2. 동일 및 유사 분야 산업기사 자격증 소지자 3. 동일 및 유사 분야 외국자격 소지자 |
---|---|
관련학과 졸업자 |
1. 관련학과 졸업자 또는 졸업예정자 2. 관련학과 전문대학 졸업자 3. 산업기사 수준의 기술훈련과정 이수자 |
실무 경력자 |
유사 직무분야 실무경력 2년 이상 |
시험 내용
구분 | 시험과목 | 시험방법 | ||
---|---|---|---|---|
문제형식 | 문항수 | 시험시간 | ||
필기시험 | ① 인쇄공학 ② 인쇄재료학 ③ 인쇄색채학 ④ 사진제판공학 | 객관식 | 과목당 20문항 | 과목당 30분 |
실기시험 | 사진제판 및 인쇄실무 | 작업형 | - | 2시간 정도 |
합격기준
필기시험 | 100점을 만점으로 하여 과목당 40점 이상, 전과목 평균 60점 이상 |
---|---|
실기시험 | 100점을 만점으로 하여 60점 이상 |
응시료
• 필기시험 : 19,400원
• 실기시험 : 105,900원
준비물
번호 | 재료명 | 규격 | 단위 | 수량 | 비고 |
---|---|---|---|---|---|
1 | 루페(확대경) | 10배이상 | EA | 1 |
|
2 | 볼펜 | 먹색 | EA | 1 |
|
3 | 수정테이프(수정액 제외) | - | EA | 1 |
|
4 | 연필 | HB | EA | 1 |
|
5 | 작업복 | null | 벌 | 1 |
|
6 | 장갑 | 작업용 | 켤레 | 1 |
|
7 | 지우개 | 사무용 | EA | 1 |
|
8 | 투명자 | 30㎝ 이상 | EA | 1 |
|
시험일정명 | 접수일 | 시험일 | 합격자발표일 |
---|
• 활용현황
(1) 취업: 인쇄전문업체, 종합인쇄 및 출판업체, 신문사 및 정기간행물 발간업체, 광고회사, 인쇄기계 및 재료 수입업체, 인쇄재료 생산업체, 인쇄용지 제조업체, 스크린인쇄관련업체, 특수인쇄 관련업체 등으로 취업할 수 있다.
• 우대사항(가산점, 우대사항 등)
(1) 우대 : 국가기술자격법에 의해 공공기관 및 일반기업 채용 시 그리고 보수, 승진, 전보, 신분보장 등에 있어서 우대받을 수 있다.
(2) 가산점 : 6급 이하 및 기술직공무원 채용시험 시 가산점을 준다. 채용계급이 8·9급, 기능직 기능8급 이하일 경우에는 5%, 6·7급, 기능직 기능7급 이상일 경우에는 3%의 가산점이 부여된다. 다만, 가산 특전은 매 과목 4할 이상 득점자에게만, 필기시험 시행 전일까지 취득한 자격증에 한한다.
• 진로 및 전망
향후 5년간 인쇄기조작원의 고용은 현상태를 유지할 것으로 보인다. 인터넷의 발전과 디지털기술의 확산에 따라 인쇄기조작원의 고용은 지속적으로 감소할 것으로 보인다. 인터넷 발전으로 시작된 미디어 매체의 변화는 최근 스마트폰 보급을 통해 오프라인 인쇄물을 대체하고 있다. 기업체 광고, 홍보물이나 포스터 등도 인터넷이나 모바일 폰을 통해 상당 부분 대체되고 특히 교과서, 잡지, 신문, 서적 등의 인쇄물도 점차 줄고 있다. 조판, 제판 등을 컴퓨터로 하는 전자출판이 보편화되고 디지털기기의 확대로 인쇄공정이 단축되면서 이전만큼 인력이 필요로 하지 않고 있다. 코팅, 제본 등의 과정에서도 기계와 설비의 자동화로 인쇄기조작원의 고용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인다. 그럼에도 인쇄는 각종 제품의 포장과 라벨제작에 사용되고 모바일 폰 등 정보통신기기조차도 인쇄작업이 필요하여 산업이 지속적으로 발전한다면 인쇄기조작원의 고용은 크게 감소되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기존 전통적인 인쇄 산업에서 고용은 감소하고 새로운 영역인 인쇄전자 등에서 성장이 주목된다. 즉 인쇄전자는 진공증착 및 노광공정을 바탕으로 지금까지의 전통적 제조방식과 달리 필름 또는 섬유소재 등에 전도성 전자잉크를 분사하여 인쇄하듯이 전자회로를 제조하는 기술이다.
• 유효기간
※ 해당 자격증은 유효기간이 없는 자격증으로, 만료되지 않는다.
이 자격증을 취득하면 도전할 수 있는 직업입니다!
산업기계설비기술사, 기계설계기사, 기계가공기능장, 일반기계기사, 인쇄기사, 인쇄기능사, 전자출판기능사, 인쇄산업기사, 기계조립산업기사, 기계설계산업기사
직업정보건설기계공학기술자 및 연구원, 사무용기계공학기술자, 엔진기계공학기술자, 인쇄기조작원, 출판물편집자, 인쇄 및 광고영업원, 출판·자료편집사무원, 기계시험원, 출판물기획전문가, 출판편집자
고객센터 : 1544-6333 ( AM 09:00 ~ PM 19:00 ) | FAX : 032-712-2742 |
Email : [email protected]
주소 : 경기도 부천시 조마루로385번길 92, 1901~1903호 (원미동, 부천테크노밸리 유1센터) |
우편번호 : 14558
대표 : 배성원 | 사업자등록번호 : 585-88-01930
통신판매업 신고번호 제 2020-경기부천-4494 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