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험내용
구분 | 시험과목 | 시험방법 | ||
---|---|---|---|---|
문제형식 | 문항수 | 시험시간 | ||
필기시험 | ① 전자계산기일반 | 객관식 4지 택일형 | 60문항 | 60분 |
실기시험 | 정보처리 실무 | 필답형 | - | 1시간30분 |
합격기준
필기시험 | 100점을 만점으로 하여 60점 이상 |
---|---|
실기시험 | 100점을 만점으로 하여 60점 이상 |
응시료
• 필기시험 : 14,500원
• 실기시험 : 17,200원
시험일정명 | 접수일 | 시험일 | 합격자발표일 |
---|---|---|---|
국가기술자격 기능사 (2022년도 제2회) 실기(면접) |
2022-04-26 ~ 2022-04-29 | 2022-05-29 ~ 2022-06-15 |
2022-06-24 ~ |
국가기술자격 기능사 (2022년도 제3회) 필기 |
2022-05-24 ~ 2022-05-27 | 2022-06-12 ~ 2022-06-18 |
2022-06-29 ~ |
국가기술자격 기능사 (2022년도 제3회) 실기(면접) |
2022-07-11 ~ 2022-07-14 | 2022-08-14 ~ 2022-08-31 |
2022-09-08 ~ |
국가기술자격 기능사 (2022년도 제4회) 필기 |
2022-08-02 ~ 2022-08-05 | 2022-08-28 ~ 2022-09-03 |
2022-09-21 ~ |
국가기술자격 기능사 (2022년도 제4회) 실기(면접) |
2022-09-26 ~ 2022-09-29 | 2022-11-06 ~ 2022-11-23 |
2022-12-02 ~ |
정보처리기능사 가산점 및 우대사항
자격증명 | 가산점 | 직렬 | 직류 | 기타 우대사항 | |
---|---|---|---|---|---|
정보처리기능사 | 9급 | 3% | 방송통신 | 통신사,통신기술,전송기술,전자통신기술 | - |
소방 | 1% | 소방 | 정보기술 |
정보처리기능사 독학 가능할까?
필기는 독학으로 취득 가능합니다. 다만 실기는 최근 ncs 내용 개편으로 프로그래밍을 어느 정도 학습이 된 상태에서 실기 시험을 치룰 수 있기에 학원 도움을 받거나 인강+독학이 시간을 줄이는 지름길이라고 생각됩니다. 공부시간은 하루 3시간 ~ 4시간 투자를 해 필기는 약 2주 정도 공부하면 취득 가능하나, 실기는 최소 약 두달 이상은 공부를 하셔야 수월하게 취득 가능합니다.
정보처리기사의 인기는 얼마나 될까?
①고용노동부와 한국산업인력공단이 2021년 6월에 발간한, 『2021년도 국가기술자격 통계연보』에 따르면, 2017년 이후 접수인원이 감소하는 추세에 있다.
②2020년 기준 자격증 취득자는 총 752,066명이다.
~2016년 | 2017년 | 2018년 | 2019년 | 2020년 |
---|---|---|---|---|
710,904 | 13,486 | 12,794 | 12,885 | 1,997 |
정보처리기능사 vs 컴퓨터활용능력 2급 필기내용 중복되나요?
정보처리기능사 필기는 전자계산기일반, 패키지활용, 운영체제(윈도우98), 정보통신일반 이렇게 4개 과목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전자 계산기에 관련된 기본 이론 내용과 운영체제, 정보통신 관련된 규약 등을 학습하며, 컴퓨터활용능력 2급은 컴퓨터일반, 스프레드시트일반(엑셀) 2과목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컴퓨터의 기본적인 내용 및 사무자동화를 학습한다. 따라서, 정보처리기능사와 컴퓨터활용능력 2급은 중복되는 내용이 거의 없습니다.
효율적으로 공부하는 방법
① 필기시험
정보처리기능사 필기시험은 4과목, 총 60문항으로 총 100점 중 60점을 취득하면 합격이다. 필기시험 과목은 전자계산기 일반, 패키지 활용, PC운영체제, 정보통신 일반 등으로 구성되며, 시험문제는 과목 구분 없이 60문제로 이루어진다. 시험시간은 1시간이고, CBT 시험인 기능사 시험이 대부분 그렇듯 시험을 종료하면 바로 합격 여부를 알 수 있다.
영어로 된 문제, 기출문제에서 전혀 안 나오는 문제, 심각하게 응용해서 나오는 문제들이 간혹 많이 나오기도 한다. 따라서 기출문제를 많이 풀어보는 것도 좋은 방법일지 모르겠지만, 최소한 이론을 알고 가는 것을 추천한다.
[전자계산기 일반]
컴활이나 워드를 취득한 사람이라면 익숙한 부분이 많은 과목이다. 전자계산기(컴퓨터)의 역사와 컴퓨터 구성 등이 나오는 과목으로, 시간 투자를 많이 하는 것이 좋다.
[패키지활용]
문제 난이도 자체도 낮고, 엑셀과 파워포인트, SQL 등 익숙한 프로그램에 대한 내용이라 기출문제 풀이로만 공부해도 된다.
[운영체제 일반]
윈도우, 도스, 유닉스 등 운영체제에 대한 내용을 묻는 과목으로, 도스와 유닉스의 명령어를 외워야 하는 것이 많다.
[정보통신 일반]
난이도도 높고 범위도 방대하다.
정보처리기사 필기시험은 무료 인터넷 강의가 많으니, 본인에게 맞는 강의를 골라 듣는 것이 좋다. 유튜브의 두목넷 채널에서 제공하는 강의를 추천한다. 또한, 기출문제는 적어도 8회분은 풀어보는 것이 좋다. 많이 풀수록 눈에 익은 문제들 위주로 봐두는 것이 좋다.
② 실기시험
정보처리기능사 실기시험은 필기시험에 비해 난이도가 훨씬 높으며, 알고리즘 과목의 배점이 60점이었으나 최근에 배점 조정이 되어 알고리즘의 배점이 50점으로 낮아지고 상대적으로 배점이 낮았던 전산영어 등의 과목 점수가 소폭 상승했다. 그래도 알고리즘 다음으로 배점이 높은 데이터베이스 부분만 조금 외워서 가면 무난하게 합격할 수 있으며, 전공자거나 컴퓨터에 관심이 아주 많은 사람이라면 따로 공부를 전혀 하지 않고도 합격할 수 있다.
독학이 어려운 만큼 인터넷 강의라도 듣는 게 좋다. 2016년 10월부터 모든 문제가 주관식이 되었다. 정확히는 서술형이 아니라 필답형이다. 알고리즘의 경우에는 빈공간을 맞는 로직으로 채우는 방식이고, 데이터베이스의 경우에는 정답 부분만 제거해서 출제된다. 큰 난관은 아니지만, 그래도 예전보다는 어려워진 것이 사실이다. 하지만 객관식에서 주관식으로 바뀌며 출제되는 난이도 자체는 오히려 내려갔다. 그렇지만 1글자라도 잘못 쓰면 그대로 오답이 되기 때문에 어떤 면에서는 난이도 상승, 어떤 면에서는 난이도 하락으로 개인마다 느끼는 난이도가 천차만별이다. 2020년부터 출제기준이 변경되었는데 필답형인 건 여전하지만 시험시간이 2시간에서 1시간 30분으로 바뀐다. 구체적으로 기존의 알고리즘, 데이터베이스 실무응용, IT 신기술 동향 및 시스템관리, 전산 영어 실무에서 응용 SW 기초기술활용, 프로그래밍언어 활용, 애플리케이션 테스트 수행, SQL 활용으로 바뀐다.
시험은 보통 1시간이면 풀 수 있는 정도로 시험시간이 2시간인데 시험 시작 후 1시간이 지나면 답안지를 내고 나갈 수 있다.
정보처리기능사는 어떤 직무를 수행하게 될까?
정보시스템의 분석, 설계 결과에 따른 작업을 수행하는 직무로서, 구현·시험·운영·유지보수 등에 관한 업무를 수행한다.
기업체 전산실, 소프트웨어 개발업체, SI(system integrated)업체, 정부기관, 언론기관, 교육 및 연구기관, 금융기관, 보험사, 병원 등 컴퓨터 시스템을 개발 및 운용하거나, 데이터 통신을 이용하여 정보처리를 시행하는 업체에 취업할 수 있다.
정보처리기능사 취득 시 구인구직 및 연봉 현황은 어떻게 될까?
①‘국가기술자격 종목별 채용시 활용도 조사결과(한국산업인력공단/’21.10.)‘ 에 따르면, 채용공고에서 ’정보처리기능사‘ 채용(우대)건수는 다음과 같다.
구 분 | 계 | 2018년 | 2019년 | 2020년 | ||||
---|---|---|---|---|---|---|---|---|
구인 건수 | 구인 인원 | 구인 건수 | 구인 인원 | 구인 건수 | 구인 인원 | 구인 건수 | 구인 인원 | |
정보처리기능사 | 872 | 1,417 | 235 | 367 | 303 | 500 | 334 | 550 |
②2022년 3월 워크넷에서 ’정보처리기능사 자격증 우대‘로 조건 검색한 결과 97건의 채용정보가 등록되어 있고, 정규직은 84건이다.
③정보처리기능사 채용(우대)요건 직장의 제시임금
구 분 | 2018년 | 2019년 | 2020년 |
---|---|---|---|
정보처리기능사 채용(우대) 요건 직장의 제시임금 | 197만원 | 202만원 | 210만원 |
*‘국가기술자격 종목별 채용시장 활용도 조사결과(’21.10./한국산업인력공단)
정보처리기능사 분야의 기술자격증은 무엇이 있을까?
[소프트웨어산업진흥법 제2조 제10호]
기술사 | 기사 | 산업기사 | 기능사 | 단일등급 |
---|---|---|---|---|
정보관리 | 전자계산기 조직응용 | 사무자동화 | 정보기기운용 | 게임그래픽전문가 |
컴퓨터시스템응용 | 정보처리 | 정보처리 | 정보처리 | 게임기획전문가 |
| 정보보안 | 정보보안 |
| 게임프로그래밍전문가 |
|
|
|
| 멀티미디어콘텐츠 제작전문가 |
*경력은 SW관련 분야에서 30일 이상 업무를 수행한 자로 한다.(소프트웨어산업진흥법 시행령 제2조 제1항 제2호)
유효기간
해당 자격증은 유효기간이 없는 자격증으로 만료되지 않는 자격이다.
다만, 필기시험만 합격한 경우 실기시험의 응시는 필기시험 합격자 발표일로부터 2년간 유효하다.
이 자격증을 취득한 사람들이 많이 도전한 자격증입니다 !
이 자격증을 취득하면 도전할 수 있는 직업입니다!
정보통신기술사, 컴퓨터시스템응용기술사, 빅데이터분석기사, 정보통신기사, 전자계산기기사, 전자기사, 정보처리기사, 컴퓨터활용능력 1급, 워드프로세서, 정보통신산업기사
직업정보컴퓨터보안전문가, 네트워크프로그래머, 가상현실전문가, 음성처리전문가, 웹프로듀서, 응용소프트웨어개발자, 컴퓨터시스템감리전문가, 컴퓨터시스템설계분석가, 컴퓨터프로그래머, 웹기획자
고객센터 : 1544-6333 ( AM 09:00 ~ PM 19:00 ) | FAX : 032-712-2742 |
Email : [email protected]
주소 : 경기도 부천시 조마루로385번길 92, 1901~1903호 (원미동, 부천테크노밸리 유1센터) |
우편번호 : 14558
대표 : 배성원 | 사업자등록번호 : 585-88-01930
통신판매업 신고번호 제 2020-경기부천-4494 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