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베디드 시스템이란?
임베디드 시스템(embedded system)이란 내장형 시스템이라는 뜻으로 넓은 범주에서는 프로그램이 가능한 모든 컴퓨터를 의미한다. 임베디드 시스템은 기계나 기타 제어가 필요한 시스템의 제어를 위해서 특정 기능을 수행하는 역할을 하며 임베디드기사는 임베디드 시스템의 하드웨어를 분석하고 임베디드 시스템의 운영체제(OS)와 관련한 소프트웨어를 설계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임베디드기사 자격증 취득하기 어려울까?
난이도를 정확히 어느 정도라고 평가할 수 없지만, 임베디드기사 필기시험의 경우 평균 39.9%, 실기시험의 경우 28.9%의 합격률을 보이고 있다. 가장 최근 실시된 2021년 시험의 경우에도 필기시험과 실기시험 합격률이 각각 46.3%와 23.8% 수준이었기 때문에 꽤나 난이도가 높은 자격증이라고 볼 수 있다. 특히 실기시험의 합격률이 현저히 낮은 편인데, 2019년 시험에서는 69명의 응시자 중 단 1명 만이 실기시험에 합격해 합격률이 1.4%에 불과했다. 따라서 임베디드기사 시험에 대비할 때는 실기시험에 중점을 두고 공부하는 것이 중요하다.
임베디드기사 자격증, 혼자 공부할 수 있을까?
임베디드기사 자격증은 응시자격이 전공자 및 실무경험 보유자로 제한되어 있기 때문에 대다수의 응시자들이 상당한 배경지식을 보유하고 있다. 그러나 필기시험과 실기시험 모두 평균 합격률이 낮은 편이기 때문에 자신이 임베디드 분야에 상당한 경험을 보유하고 있다고 하더라도 철저히 시험에 대비하는 자세가 필요하다. 특히 실기시험의 경우 역대 평균 합격률이 최소 1.4%에서 최대 69.4%로 난이도의 편차가 매우 크기 때문에 혼자 공부하더라도 반드시 기본 개념을 꼼꼼하게 숙지하는 자세가 필요하다.
임베디드기사는 흔한 자격증일까?
임베디드기사 자격증은 2013년 처음 시행된 신규 자격증이다. 자격증이 신설되어 시행된 지 채 10년이 되지 않기 때문에 지난 2021년까지 임베디드 자격증을 취득한 사람들의 전체 인원이 137명에 불과할 정도로 매우 높은 희소성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임베디드기사를 취득한 후 IT분야에 진출하고자 하는 응시자의 경우 상대적으로 상향 평준화된 경쟁자들 사이에서 자신만의 고유한 역량과 임베디드 SW 개발 역량과 관련하여 독보적인 전문성을 갖췄다는 점을 어필할 수 있다.
학점은행제로 임베디드기사 자격증 응시자격 취득하는 방법
만약 학력이 고졸이거나 임베디드기사 자격요건에서 규정하고 있는 전공이 아닌 타전공을 이수한 경우에는 대학에 새롭게 진학하지 않고도 학점은행제를 활용하여 임베디드기사 응시자격을 취득할 수 있다. 임베디드기사 자격증 응시자격을 얻기 위해서는 온라인수업을 통해 관련 과목 106학점을 이수하면 된다. 학점은행제를 활용할 경우 응시자격을 취득하기까지 약 1~2년이 소요되며 시험 응시 전 학점인정신청을 완료하면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