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험내용
구분 | 시험과목 | 시험방법 | ||
---|---|---|---|---|
문제형식 | 문항수 | 시험시간 | ||
필기시험 | ① 도면해독 | 객관식 4지 택일형 | 60문항 | 60분 |
실기시험 | 컴퓨터응용밀링작업 | 작업형 | - | 3시간 정도 |
시험과목별 NCS 분류
◎ 국가기술자격의 현장성과 활용성 제고를 위해 국가직무능력표준(NCS)를 기반으로 자격의 내용 (시험과목, 출제기준 등)을 직무 중심으로 개편하여 시행한다.
필기과목명 | NCS 능력단위 | NCS 세분류 | 실기과목명 | NCS 능력단위 | NCS 세분류 |
---|---|---|---|---|---|
도면해독, 측정 및 밀링가공 | 도면해독(밀링가공) | 컴퓨터응용 밀링가공 실무 | 도면해독(밀링가공) | ||
안전규정준수(밀링가공) | 안전규정준수 (밀링가공) | ||||
작업장유지관리(밀링가공) | 작업장유지관리 (밀링가공) | ||||
기본 작업(밀링가공) | 기본 작업(밀링가공) | ||||
평면?총형 가공 | 평면?총형 가공 | ||||
엔드밀 가공 | 엔드밀 가공 | ||||
공구선정 | 기본측정기 사용 | ||||
기본측정기 사용 | 육안검사 | ||||
정밀측정 | CNC밀링(머시닝센터) 조작 | ||||
육안검사 |
|
|
| ||
CNC밀링(머시닝센터) 조작 | |||||
CNC밀링(머시닝센터) 가공 매뉴얼 프로그래밍 | |||||
CNC밀링(머시닝센터) 가공 CAM 프로그래밍 |
☞ NCS 세분류를 클릭하시면 관련 정보를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 출처 : NCS(https://www.ncs.go.kr)
※ 국가직무능력표준(NCS)란? 산업현장에서 직무를 수행하기 위해 요구되는 지식·기술·태도 등의 내용을 국가가 산업부문별·수준별로 체계화한 것
합격기준
필기시험 | 100점을 만점으로 하여 과목당 40점 이상, 전과목 평균 60점 이상 |
---|---|
실기시험 | 100점을 만점으로 하여 60점 이상 |
시험일정명 | 접수일 | 시험일 | 합격자발표일 |
---|---|---|---|
국가기술자격 기능사 (2022년도 제2회) 실기(면접) |
2022-04-26 ~ 2022-04-29 | 2022-05-29 ~ 2022-06-15 |
2022-06-24 ~ |
국가기술자격 기능사 (2022년도 제3회) 필기 |
2022-05-24 ~ 2022-05-27 | 2022-06-12 ~ 2022-06-18 |
2022-06-29 ~ |
국가기술자격 기능사 (2022년도 제0회) 실기(면접) |
2022-05-10 ~ 2022-05-13 | 2022-06-20 ~ 2022-07-01 |
2022-07-22 ~ |
국가기술자격 기능사 (2022년도 제3회) 실기(면접) |
2022-07-11 ~ 2022-07-14 | 2022-08-14 ~ 2022-08-31 |
2022-09-08 ~ |
국가기술자격 기능사 (2022년도 제4회) 필기 |
2022-08-02 ~ 2022-08-05 | 2022-08-28 ~ 2022-09-03 |
2022-09-21 ~ |
국가기술자격 기능사 (2022년도 제4회) 실기(면접) |
2022-09-26 ~ 2022-09-29 | 2022-11-06 ~ 2022-11-23 |
2022-12-02 ~ |
컴퓨터응용밀링기능사 프로그램 작성법은?
지급된 도면을 참조하여 mastercam, edgecam, 인벤터 캠, NX(Simens), SolidCam, 파워밀 등을 활용하여 G 코드를 작성한다. 과거 수치제어 밀링기능사 시절에는 G 코드를 수기로 작성하였지만, 현재 CAD/CAM 작업으로 대체되었다. 프로그램 작성 시 적절한 절삭속도와 절삭깊이를 입력하지 않으면 엔드밀이 부러지거나 오작품이 나오는 경우가 있는데 이는 실격에 해당한다. 내부 포켓가공을 하는 경우 엔드밀은 드릴 구멍에 진입 후 절삭을 시작하게 작성하도록 하고 시뮬레이션 상에는 가공이 가능하지만, 엔드밀은 기본적으로 측면 절삭에 사용하는 공구이다.
램프(경사가공) 진입을 이용하면 구멍을 뚫지 않고도 포켓가공이 가능하다. 프로그램마다 다르지만 보통 CAM 프로그램에 [포켓가공] 하위 메뉴 진입/복귀 --> [램프] 특히 2날 엔드밀의 경우에는 엔드밀 중심부에 날이 있어서 문제가 없지만, 날 수가 4날 이상인 엔드밀 중에는 날 중심부에 센터 구멍이 있는 형태의 엔드밀이 있는데 이런 엔드밀로 막힌 부분에 수직으로 내리게 되면 바로 엔드밀 파손이므로 주의해야 한다.
컴퓨터응용밀링기능사와 컴퓨터응용선반기능사의 차이점은 무엇일까?
두 종목 모두 정밀한 부품을 가공하기 위하여 가공 도면을 해독하고 작업계획을 수립하는 과정을 평가하는 종목이다. 다만, 컴퓨터응용선반기능사는 적합한 공구를 이용하여 내외경 단차, 홈 및 테이퍼, 나사 등을 선반과 CNC선반을 운용하여 가공하고, 공작물을 측정하여 필요시 수정하고 장비를 점검, 정비, 관리하는 등의 직무수행을 평가하는 종목이지만 컴퓨터응용밀링기능사는 적합한 공구를 이용해 평면, 곡면, 홈, 구멍, 나사 등을 밀링과 머시닝센터를 운용하여 가공한 후, 공작물을 측정하여 필요시 수정하고, 장비를 점검, 정비, 관리하는 등의 직무 수행을 평가하는 종목이다.
시험 과목 개편 이전에는 필기 시험 과목이 한 개 말고 모두 동일해서 함께 공부하는 데 메리트가 있었고 필기시험 합격시 상호 필기시험을 면제해주었지만 필기시험을 직무 중심으로 개편한 이후 상호 필기시험 면제 제도가 폐지되었다. 하지만 두 과목이 유사성을 많이 띄고 있기 때문에 두 자격증을 함께 취득하면 더 적은 시간을 투자해 두 개의 자격증을 모두 취득할 수 있다.
컴퓨터응용밀링기능사 전망은 어떻게 될까?
대부분 컴퓨터응용밀링기능사는 마이스터고등학교 혹은 공업고등학교 등 기계과, 정밀기계과 학생들이 많이 취득하는 편이며, 주로 각종 기계제조업체, 금속제품 제조업체, 의료기기·계측기기·광학기기 제조업체, 조선·항공·전기·전자기기 제조 업체, 자동차 중장비, 운수장비업체, 건설업체 등으로 진출가능하다. 다만 최근 기계가공업체의 인력난이 좋지 않은 편으로 최소 상위 자격증인 컴퓨터응용밀린산업기사를 준비하는 과정으로 생각하길 바란다.
컴퓨터응용밀링기능사 가산점 및 우대사항
자격증명 | 가산점 | 직렬 | 직류 | 기타 우대사항 | |
---|---|---|---|---|---|
컴퓨터응용밀링기능사 | 9급 | 3% | 공업 | 일반기계, 농업기계, 운전, 항공우주 | - |
효율적으로 공부하는 방법
취득 후 하는 일
주로 각종 기계제조업체, 금속제품 제조업체, 의료기기·계측기기·광학기기 제조업 체, 조선, 항공, 전기·전자기기 제조업체, 자동차 중장비, 운수장비업체, 건설업체 등으로 진출할 수 있다.
컴퓨터응용밀링기능사는 정밀한 부품을 가공하기 위하여 가공 도면을 해독하고 작업계획을 수립하며 적합한 공구를 이용하여 평면, 곡면, 홈, 구멍, 나사 등을 밀링과 머시닝센터를 운용하여 가공한 후, 공작물을 측정하여 필요시 수정하고, 장비를 점검, 정비, 관리하는 등의 직무를 수행한다.
유효기간
해당 자격증은 유효기간이 없는 자격증으로, 만료되지 않는 자격이다.
1 |
필기원서접수 |
Q-net을 통한 인터넷 원서접수 |
---|---|---|
필기접수 기간내 수험원서 인터넷 제출 |
||
사진(6개월 이내에 촬영한) 3.5cm*4.5cm,120*160픽셀 사진파일(JPG)) 수수료 전자결제 |
||
시험장소 본인 선택(선착순) |
||
2 |
필기시험 |
수험표, 신분증, 필기구(흑색 싸인펜등) 지참 |
3 |
합격자발표 |
Q-net을 통한 합격확인(마이페이지 등) |
응시자격 제한종목(기술사, 기능장, 기사, 산업기사, 서비스 분야 일부종목)은 사전에 공지한 시행계획 내 응시자격 서류제출 기간 이내에 반드시 응시자격 서류를 제출하여야 함 |
||
4 |
실기원서 접수 |
실기접수기간내 수험원서 인터넷(www.Q-net.or.kr) 제출 |
사진(6개월 이내에 촬영한 3.5cm*4.5cm픽셀 사진파일JPG, 수수료(정액) |
||
시험일시, 장소 본인 선택(선착순) |
||
5 |
실기시험 |
수험표, 신분증, 필기구 지참 |
6 |
최종합격자발표 |
Q-net을 통한 합격확인(마이페이지 등) |
7 |
자격증 발급 |
(인터넷)공인인증 등을 통한 발급, 택배가능 |
이 자격증을 취득한 사람들이 많이 도전한 자격증입니다 !
이 자격증을 취득하면 도전할 수 있는 직업입니다!
금형제작기능장, 컴퓨터시스템응용기술사, 주조기능장, 사출금형설계기사, 금형기술사, 프레스금형설계기사, 금형기능사, 컴퓨터그래픽스운용기능사, 컴퓨터응용선반기능사, 컴퓨터활용능력 2급
직업정보건설 및 광업기계설치 및 정비원, 건설기계공학기술자 및 연구원, 금속재료공학시험원, 금속가공관련검사원, 산업용 기계장비기술영업원, 금속가공장치조작원, 금속공학기술자, 금형원
고객센터 : 1544-6333 ( AM 09:00 ~ PM 19:00 ) | FAX : 032-712-2742 |
Email : [email protected]
주소 : 경기도 부천시 조마루로385번길 92, 1901~1903호 (원미동, 부천테크노밸리 유1센터) |
우편번호 : 14558
대표 : 배성원 | 사업자등록번호 : 585-88-01930
통신판매업 신고번호 제 2020-경기부천-4494 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