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대예술전문인은 어떤 자격증일까?
무대예술전문인 자격검정위원회에서 시행하는 국가전문자격증으로 공연법에 의해 공연예술과 관련한 다양한 직무 중 무대기계, 조명, 음향분야를 담당하는 기술 스태프를 양성 및 검증하는 자격 과정이다. 자격증 역시 ‘무대기계’, ‘무대조명’, ‘무대음향’ 세 분야로 나누어지며 각 분야마다 1,2,3급으로 등급이 구분되어져 실무 경력 등의 자격을 갖추어야 응시할 수 있으며 필기/실기 시험에 합격하면 문화체육관광부장관 명의의 자격증을 취득할 수 있다. 무대예술분야의 전문성 강화, 우수 인력 양성 및 종사자들의 전문가로서의 자긍심을 고취시키는 데에 목적을 두고 있다.
무대예술에서 무대장치는 얼마나 중요할까?
먼저 무대예술이란 무대를 이용해 시각적인 이미지를 창출해내는 작업으로 연극, 공연 등이 속한다. 무대 위에서 배우가 이동하고 연기를 하며 예술을 행하는 작업을 연극이라 칭하지만 로버트 에드먼드 존스에 의하면 "배우는 무대장치를 배경으로 하여 연기하는 것이 아니라 무대장치 속에서 연기한다"고 할 만큼 무대 장치가 없다면 연극으로써의 의미가 없어진다고 할 수 있다. 배우의 연기나 의상, 소품 이외에도 무대장치, 조명, 음향과 같은 무대 장치가 연극에서 시각적인 요소를 제공하는 큰 요인이 되기 때문에 건축·회화·공예 등의 여러 요소와 작품 자체 및 예술적 특성들을 고려하여 적합한 무대장치를 꾸미는 것이 중요하다.
실무경력을 인정해주는 기준이 있을까?
해당 자격증은 공연법 시행령 제10조 4에 의해 분야 및 급수에 따라 정해진 응시자격이 있다. 해당 응시자격에 실무 경력이라는 조건이 있는데 분야별로 인정받을 수 있는 업무 분야가 다르다. 무대기계전문인의 경우, 무대기계의 조작/관리나 무대장치의 설치/전환에 대한 업무에 종사했을 경우 인정받을 수 있으며, 무대조명전문인의 경우 조명기기의 설치/조작/관리, 무대음향전문인의 경우에는 음향기기의 설치/조작/관리에 해당하는 업무에 대해 경력을 인정받을 수 있다. 해당 응시자가 공연장에 종사했을 경우에는 공연장 근무 기간 전체를 실무 경력으로 인정받을 수 있으나 공연업에 종사했을 때에는 검정기관이 정하여 고시하는 기준에 해당하는 연간 5개 이상의 공연작품에서 인정대상 업무분야에 참여한 경우나 공연기간이 연 90일 이상인 공연작품을 포함한 연간 2개 이상의 공연작품에서 인정대상 업무분야에 참여한 경우에 한해 1년으로 인정받게 된다. 만약 실습생/연수생/인턴 신분으로 근무한 경우에는 실제 근무 기간의 2분의 1을 인정받게 된다.
무대예술전문인 난이도와 시험 준비기간은 얼마나 될까?
무대예술전문인의 경우 분야마다 1/2/3급으로 급수가 나뉘어있다. 난이도 순위를 매기면 1급이 제일 어렵고 3급이 제일 쉬운 것으로 볼 수 있다. 다만 급수에 따라 문제의 난이도나 출제되는 문제의 깊이가 다른 것일뿐 시험 범위 자체는 동일하다. 그래도 3급의 경우 표준 교재만 다 읽어도 거뜬히 합격할 수 있는 수준으로 출제가 된다고 한다. 준비기간의 경우, 사람마다 배경지식의 정도가 다른만큼 기간 자체가 매우 다양하지만 필기시험은 8권의 책을 모두 읽고 기출문제까지 풀 것을 생각해 넉넉히 4~5개월 정도는 소요된다고 한다.
무대예술전문인 독학으로 취득할 수 있을까?
무대예술전문인 자격증의 경우 학원이나 인강이 마땅치 않기 때문에 대다수가 독학으로 취득하는 자격증이다. 필기시험의 경우 자격검정위원회의 표준교재를 읽고 기출문제를 통해 충분히 합격할 수 있으며 각종 무대 장치와 관련된 경험이 있는 경우 실기 시험은 실제와 비슷하게 운영되기 때문에 어렵지 않게 준비할 수 있다고 한다. 시험자체가 1/2급의 경우 경력이 있어야만 응시가 가능하기도 하며, 3급의 경우에도 관련 종사자나 관련 학과 졸업자등이 응시하기 때문에 평소 기계를 만져본 적이 있다면 독학으로도 충분히 준비할 수 있다. 혼자서 무리가 있다면 지인이나 다른 사람들과의 스터디 등을 통해 서로 도움을 주고 받는 것이 좋다.
무대예술전문인 취득 후 어떤 일을 할까?
무대예술전문인을 취득하면 취득한 자격 분야에 맞춰 관련 업무를 수행하게 된다. 무대기계 분야의 경우, 공연장 상층부에 설치되어 막이나 세트를 매달아 전환하는 상부기계, 무대 아래쪽에 설치된 하부기계를 작동하고 관리하는 업무를 담당하게 된다. 무대조명 분야에서는 연출자의 의도에 따라 적합한 조명을 사용 및 관리하며, 무대음악의 경우 무대 연출에 사용되는 각종 음향기기를 설치, 조작, 운영하는 업무를 담당하게 된다. 작품마다 필요한 내용이 다르고 연출하려는 장면에 맞춰 기계를 작동시켜야 하므로 작품에 대한 수준 높은 이해와 뛰어난 예술적 감각이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