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송통신산업기사란?
방송통신산업기사 자격증은 한국방송통신전파진흥원에서 주관하는 국가기술자격증이다. 방송통신산업기사는 공중파 방송, 유선방송, 위성방송에 이용되는 각종 방송국 설비와 전송로 설비를 설치하고 정상적인 운용을 위해 수공구와 측정기를 사용하여 전송장비를 설치, 운용, 시험 및 점검한다. 방송통신산업기사는 방송시스템에서 제작 및 가공된 방송 콘텐츠가 수신자에게 서비스(수신)되기까지 단계별로 기기들의 운용 · 유지관리 · 시스템 구성 및 송출과 관련된 업무와 방송통신시스템을 설계하고 설치하는 업무를 수행한다. 전기통신은 교환계와 전송계로 나눌 수 있으며, 이 중에서 전송계의 주된 구성요소가 되는 유선방송설비는 복잡한 구조를 가지고 있다. 이에 따라 유선방송설비에 대한 상급 숙련기능을 소지하고 방송설비를 설치, 운영할 수 있는 기능인력을 양성하고자 자격제도를 제정하였다. 방송통신산업기사는 2002년에 신설되어 2009년까지 한국산업인력공단에서 시행되어 오다가 2010년부터 한국방송통신전파진흥원에서 시행하고 있다.
방송통신산업기사 시험 난이도는 어떻게 될까?
방송통신산업기사 자격증 시험의 2020년 필기 시험 합격률은 39.7% 이고, 실기 시험 합격률은 47.8%인것으로 보아, 필기 시험자체의 난이도가 실기 시험보다 높은 것을 알 수 있다. 그리고 2020년에도 필기 합격률은 32.1%, 실기 합격률은 77.3%였다. 2019년에는 필기가 32.5%, 실기가 50%인것으로 나타났다. 이것으로 보아, 필기 시험 합격률은 평균적으로 30%정도가 나오고, 실기 합격률은 5-60%대에 머무르는 것으로 보인다. 실기 시험의 난이도는 중상정도에 해당하며, 필기 시험의 난이도는 상에 해당한다. 필기에 합격하고 그 해의 실기 시험에 떨어지면 다음 년도 시험에 응시할 때에는 필기 시험을 재응시하지않고 실기 시험에 바로 응시가 가능하지만, 방송통신산업기사 시험처럼 실기 시험보다 필기 시험의 난이도가 더 높은 경우에 안일하게 대비했다가 필기 시험에 떨어지면 다음 년도에 다시 필기부터 준비를 해야하는 불상사가 발생할 수 있다. 그러므로 필기 시험을 철저하게 대비하는 것이 중요하다.
방송통신산업기사, 독학으로 취득할 수 있을까?
방송통신산업기사 자격증을 취득할 때에는 기본적으로 4-5개월정도가 소요된다. 이미 통신 또는 정보관련 자격증을 소지하고 있거나, 방송통신산업기사보다 한 단계 낮은 자격증은 방송통신기능사 자격증이 있다면 취득기간이 1-2개월정도는 단축될 수 있다. 그만큼 기본적인 지식이 중요하게 자리잡는 자격증이다. 만약에 5개월이상을 여유롭게 투자할 수 있다면 독학으로 준비하는 것도 충분히 가능하다. 실기 시험도 마찬가지 이다. 하지만 단기간에 취득을 하고자 하는데, 관련학과를 졸업했다거나 관련 자격증이 있는 것이 아니라면 학원의 커리큘럼을 따라가는 것이 단기간에 빠르게 취득할 수 있는 방법 중 하나이다.
지상파, 케이블, 위성방송의 차이점은?
지상파는 흔히 아는 KBS, SBS, MBC, EBS 등을 말할 때 쓰는 표현이다. 왜냐하면 지상파 방송은 지상에 있는 방송 송출로 전파를 송출하는 방송이기 때문이다. 지상파 방송은 전파의 범위가 한정적이기에 선택된 방송사업자들만 방송할 수 있다. 공중파는 지상파와는 달리, 송신기에서 위쪽으로 전파를 올려 우주공간으로 들어가거나, 전리층에 부딪혀 먼 거리에 있는 지상으로 되돌아오는 것을 말한다. 원래 지상파 방송이 공중파라고 불렸지만, 위성방송이 생기면서 이를 구분 짓기 위해 지상파 방송이라고 부르게 되었다고 한다. 아마 공익을 위한 방송을 의미하는 공중파라는 말때문에 지상파와 혼동되어 사용되는 것으로 보인다. 그렇다면 사실 지상파와 공중파는 같은 의미로 사용되는 것이기에 제대로 된 비교대상이 아니다. 즉, 지상파 방송의 비교 대상은 케이블 방송, 위성방송, 인터넷 방송 등이라고 할 수 있다. 케이블 방송은 유선 방송이라고도 하며, 공중에서 전파를 보내는 것이 아니라 유선으로 영상, 소리 신호를 보내는 방식이라고 한다. 게다가 시청자가 채널을 선택해 시청료를 지불하고 시청할 수 있다. 위성방송은 말 그대로 방송위성을 이용한 방송을 말한다. 지상파 방송의 한계를 이겨내기 위해 고안된 방식이라고 한다. 이 외에 인터넷 방송은 아프리카 TV, 트위치 등과 같이 인터넷을 통한 방송을 말한다. 흔히 말하는 스트리밍을 인터넷 방송이라고 이해하면 된다.
방송통신산업기사 관련된 학과는?
방송통신산업기사 자격증은 장비를 설치하고 수리하는 업무를 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학과도 전기 전자과나 정보 통신과, 정보 통신공학과, 컴퓨터 공학과를 나오는 경우가 많다. 전기 전자과는 전기에너지의 생산 및 활용에 관련된 전통적인 산업인 전력산업에서부터 정보통신산업, 반도체 및 전력전자산업, 제어 및 자동화 부문의 산업에 대한 기초 이론과 응용기술을 습득하는 공부를 주로 삼아서 한다. 이에 따라 전기전자과는 전기시스템 분야에서 컴퓨터를 응용한 각종 자동화 설비에 대한 이론적 지식과 실무 능력을 겸비하는 것이 목표이다. 다음으로 정보통신과는 학교마다 있는 학교도 있고 없는 학교도 있는데, 정보통신과는 첨단 통신 분야(이동통신, 방송통신 등)의 전문지식을 쌓고 설계, 측정, 장비 운용 기술을 습득하여 컴퓨터 시스템 및 네트워킹 분야의 이론과 실무에 적용하는 것을 주로 학습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