응시자격
기술자격 소지자 |
1. 동일(유사)분야 산업 기사 |
---|---|
관련학과 졸업자 |
1. 전문대졸(졸업예정자) |
순수 경력자 |
1. 2년(동일, 유사 분야) |
시험내용
구분 |
시험과목 |
시험방법 |
||
---|---|---|---|---|
문제형식 |
문항수 |
시험시간 |
||
필기시험 |
① 응용역학 |
객관식 4지 택일형 |
과목당 20문항 |
과목당 30분 |
실기시험 |
토목설계 및 시공실무 |
작업형 |
- |
3시간 정도 |
합격기준
필기시험 |
100점을 만점으로 하여 과목당 40점 이상, 전과목 평균 60점 이상 |
---|---|
실기시험 |
100점을 만점으로 하여 60점 이상 |
출제경향
- 필기시험의 내용은 고객만족>자료실의 출제기준을 참고바랍니다.
- 작업형 실기시험은 도로, 공항, 철도, 하천, 교량, 댐, 터널, 항만 및 해안시설물 등 다양한 구조물의 건설사업을 계획, 설계, 시공, 감리 등의 직무수행을 위한 기본적 토목 구조물의 물량산출과 설계도면 이해 및 작성 능력을 평가
응시료
ㆍ 필기시험 : 19,400원
ㆍ 실기시험 : 30,500원
준비물
번호 | 재료명 | 규격 | 단위 | 수량 | 비고 |
---|---|---|---|---|---|
1 | 필기도구(볼펜) | 흑색 | EA | 1 | |
2 | T자 | 900㎜이상 | EA | 1 | |
3 | 삼각스케일 | 300㎜ | EA | 1 | |
4 | 삼각자 | 300㎜ | EA | 1 | 일반 자 대체 사용 가능 |
5 | 스카치테이프 | 폭1.5㎝이상 | CM | 50 | |
6 | 연필 | B~2H | 자루 | 1 | 임의 갯수 |
7 | 원형템프렛 | 정원 | EA | 1 | |
8 | 전자계산기 | 휴대용 | 대 | 1 | |
9 | 제도기 | 15품이상 | 조 | 1 | |
10 | 지우개 | 제도용 | EA | 1 | |
11 | 칼 | 연필깍기용 | EA | 1 | |
12 | 수정테이프(수정액 제외) | - | EA | 1 |
시험일정명 | 접수일 | 시험일 | 합격자발표일 |
---|---|---|---|
국가기술자격 기사 (2022년도 제12회) 실기(면접) |
2022-06-21 ~ 2022-06-24 | 2022-07-24 ~ 2022-08-05 |
2022-08-19 ~ |
국가기술자격 기사 (2022년도 제4회) 필기 |
2022-08-16 ~ 2022-08-19 | 2022-09-14 ~ 2022-10-03 |
2022-10-13 ~ |
국가기술자격 기사 (2022년도 제4회) 실기(면접) |
2022-10-25 ~ 2022-10-28 | 2022-11-19 ~ 2022-12-02 |
2022-12-16 ~ |
작업형은 도면그림을 주면 똑같이 그려야 하는 것일까?
도면을 주고 똑같이 그리라고 나오는 게 아니라, 구조물을 보여주고 상세도면을 직접 그려야한다. 없는 도면을 그려야 한다는 뜻이다. 토목기사실기 문제를 보면 철근상세도가 다 나와있다. 그게 토목산업기사에서는 답안지가 되기 때문에 과년도 문제집이 따로 없다.
토목산업기사와 건설안전산업기사 둘 중 어느 시험의 난이도가 더 어려울까?
토목산업기사가 훨씬 더 어렵다. 건설안전산업기사는 비전공자가 독학해도 될 정도이지만 토목산업기사는 과목부터가 역학 포함 6과목 + 실기는 도면드로잉이라서 어렵다.
토목산업기사 변경된 실기시험 평가방법 변경사항은?
토목산업기사 가산점 및 우대사항
자격증명 | 가산점 | 직렬 | 직류 | 기타 우대사항 | |
---|---|---|---|---|---|
토목산업기사 | 7급 | 3% | 해양수산 | 해양교통시설 | - |
시설 | 도시계획, 일반토목, 농업토목, 교통시설, 도시교통설계 | ||||
9급 | 5% | ||||
방재안전 | 방재안전 | ||||
군무원 7급 | 3% | 군무원 | 토목 | ||
군무원 9급 | 5% | ||||
경찰 | 2점 | 경찰 | 토목 |
①필기시험
(1) 수리학은 이론 자체는 어려우나 문제는 어렵게 출제되지 않는다.
기술자격증 시험은 1분에 1문제를 풀어야 하기 때문에 깊이 있는 문제 (심화문제) 위주로 출제되지 않기 때문이다.
따라서 심도 있는 이론 학습법 보다는 빠른 속도로 여러 번 반복하는 학습법이 좋다.
(2) 토질 및 기초, 상하수도공학은 암기과목이므로, 6개 필기 과목 중 제일 마지막 순서로 학습하는 것이 좋다.
특히 암기과목은 학습 시, 키 포인트를 잘 정리해뒀다가 시험일 2~3일 전 다시 훑어봐야 암기했던 내용을 잊어버리지 않고 고득점을 받을 수 있다.
(3) 토질 및 기초는 실기 시험에도 중복되는 이론이 많으므로, 필기 시험 학습 시에도 특별히 준비에 만전을 기해야 한다.
응용역학 : 계산문제 분포가 많은 과목이다. 따라서 눈으로 풀지 말고 직접 계산할 것을 권장한다.
측량학 : 각 파트 별 상관관계는 없으나 많은 암기를 요구하는 과목이다.
수리학 : 정수역학은 관수로, 동수역학은 개수로와 같이 공부하면서 준비한다.
철근콘크리트 및 강구조 : 계산과 서술형 문제가 동시에 출제되므로 이해/복습 위주의 공부법을 선택해야 한다.
상하수도공학 : 상수도와 하수도의 출제 빈도가 비슷하며, 법에 근거한 암기과목이다.
필기 효율적인 학습순서
측량학 → 응용역학 → 수리학→ 철근콘크리트 및 강구조 → 토질 및 기초 → 상하수도공학
공부량이 많고 이해가 필수인 측량학과 응용역학을 먼저, 그리고 암기과목인 토질 및 기초와 상하수도공학을 제일 나중에 하는 것이 좋다.
② 실기시험
시공 : 토공, 건설기계, 기초, 콘크리트의 파트가 많은 부분을 차지한다. 특히 기초의 경우 준비에 만전을 기해야 한다.
물량산출 : 옹벽 구조물, 암기 구조물, 슬래브, 도로교하부 구조물로 이루어진다. 연속적인 구조물은 옹벽과 암거 구조물이며, 비연속적인 구조물은 슬래브와 도로교하부 구조물이다.
공정
*문제접근 방법
(1) CP를 구한다
(2) 여유시간을 구한다
(3) 단축가능 일수와 비용경사를 구한다
(4) 공기를 단축한다
⑤ 새로운 CP를 고려한다
실기 효율적인 학습순서
시공 → 물량산출 → 공정
취득 후 하는 일
① 종합 및 전문건설업체, 토목엔지니어링 회사 등에 취업이 가능하다.
② 포장전문공사업체, 상하수도전문공사업체, 철도궤도 전문공사업체, 일반 기업체의 설계나 정부투자기관 및 건설교통부, 지방자치단체의 토목과로 진출할 수 있다.
③ 정부투자기관, 지방자체단체 등에서 기술직 공무원으로 활동할 수 있고 관련 연구소에서 건설기술과 관련한 연구업무를 맡기도 한다.
④ 도로, 공항, 철도, 하천, 교량, 댐, 터널, 항만 및 해양시설물 등 다양한 건설사업을 계획, 설계, 시공 관리 등의 직무를 수행한다.
유효기간
해당 자격증은 유효기간이 없는 자격증으로, 만료되지 않는 자격이다.
1 |
필기원서접수 |
Q-net을 통한 인터넷 원서접수 |
---|---|---|
필기접수 기간내 수험원서 인터넷 제출 | ||
사진(6개월 이내에 촬영한) 3.5cm*4.5cm,120*160픽셀 사진파일(JPG)) 수수료 전자결제 | ||
시험장소 본인 선택(선착순) | ||
2 |
필기시험 |
수험표, 신분증, 필기구(흑색 싸인펜등) 지참 |
3 |
합격자발표 |
Q-net을 통한 합격확인(마이페이지 등) |
응시자격 제한종목(기술사, 기능장, 기사, 산업기사, 서비스 분야 일부종목)은 사전에 공지한 시행계획 내 응시자격 서류제출 기간 이내에 반드시 응시자격 서류를 제출하여야 함 | ||
4 |
실기원서 접수 |
실기접수기간내 수험원서 인터넷(www.Q-net.or.kr) 제출 |
사진(6개월 이내에 촬영한 3.5cm*4.5cm픽셀 사진파일JPG, 수수료(정액) | ||
시험일시, 장소 본인 선택(선착순) | ||
5 |
실기시험 |
수험표, 신분증, 필기구 지참 |
6 |
최종합격자발표 |
Q-net을 통한 합격확인(마이페이지 등) |
7 |
자격증 발급 |
(인터넷)공인인증
등을 통한 발급, 택배가능 |
이 자격증을 취득하면 도전할 수 있는 직업입니다!
토목시공기술사, 농어업토목기술사, 건축시공기술사, 토목품질시험기술사, 토질및기초기술사, 토목구조기술사, 지질및지반기술사, 철도토목기사, 농업기계산업기사, 철도토목산업기사
직업정보건축사, 철도차량공학기술자, 건축구조기술자, 토목감리기술자, 토목공학기술자, 토목구조설계기술자, 토목시공기술자, 토목안전환경품질기술자, 건축 및 토목캐드원, 건축공학기술자
고객센터 : 1544-6333 ( AM 09:00 ~ PM 19:00 ) | FAX : 032-712-2742 |
Email : [email protected]
주소 : 경기도 부천시 조마루로385번길 92, 1901~1903호 (원미동, 부천테크노밸리 유1센터) |
우편번호 : 14558
대표 : 배성원 | 사업자등록번호 : 585-88-01930
통신판매업 신고번호 제 2020-경기부천-4494 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