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BS한국어능력시험 시험과목
구분 |
시험과목 |
시험방법 | ||
---|---|---|---|---|
문제형식 |
문항수 |
시험시간 | ||
전과목 필기시험 |
어휘력 이해능력(듣기, 읽기) 표현능력(쓰기, 말하기)
창안능력(창의적 언어능력) 국어문화능력(국어 교과의 교양적 지식) |
객관식 5지 선다형 |
80~100문항 |
듣기평가 25분 읽기평가 95분 총 120분 |
KBS한국어능력시험 출제방향
KBS한국어능력시험 출제방향 | |
---|---|
효과성과 유창성 | KBS한국어능력시험은 국어 능력의 효과성과 유창성을 측정하기 위해 국민이 다양한 교육과 경험을 통하여 습득한 듣기,말하기, 읽기, 쓰기 등의 우리말 사용 능력을 범교과적인 제재를 활용하여 측정한다. |
정확성 | 정확한 언어 사용은 효과적이고 유창한 언어 사용, 창의적 언어 사용의 기반이 된다. 기존 시험들(대입 수능 등)이 정확성 측정에는 소홀하고 학교 문법 교육이 부실하기 때문에 KBS한국어능력시험은 문법(어휘, 어법) 영역 측정의 비중이 높다. |
창의성 | KBS한국어능력시험은 다른 국어 관련 시험에서 집중적으로 다루지 않은 ‘창안 능력’과 ‘국어문화 능력’을 강화하여 별도의 영역으로 설정되었디. 외국어능력시험이 의사소통의 기능적인 측면을 중요시한다면, 자국어능력시험은 이보다 한 단계 더 높은 창의적 언어능력과 우리 언어문화에 대한 교양적인 능력을 측정하는 수준까지 나아가야 한다는 것이 KBS한국어능력시험의 특징이다. |
KBS한국어능력시험 합격기준
1급 |
전문가 수준의 뛰어난 한국어 사용 능력을 가지고 있음. 창조적인 언어 사용 능력의 소유자로서 언론인, 방송인, 저술가, 작가, 국어관련교육자, 기획 및 홍보 업무 책임자로서 갖추어야 할 언어 능력을 충분히 갖추고 있음. |
---|---|
2+급 |
일반인으로서 매우 뛰어난 수준의 한국어 사용능력을 가지고 있음. 언론인, 방송인, 저술가, 작가, 국어관련교육자, 기획 및 홍보 업무를 수행할 언어 사용 능력을 갖추고 있음. |
2-급 |
일반인으로서 뛰어난 수준의 한국어 사용능력을 가지고 있음. 언론인, 방송인, 저술가, 작가, 국어관련교육자, 기획 및 홍보 업무를 수행할 기본적인 언어 사용능력을 갖추고 있음. |
3+급 |
일반인으로서 보통 수준 이상의 한국어 사용 능력을 가지고 있음. 일반 업무를 수행할 수있는 언어 사용능력을 갖추고 있음. |
3-급 |
국어교육을 정상적으로 이수한 일정 수준 이상의 한국어 사용능력을 가지고 있음. 일정 범위 내에서 일반 업무를 수행할 수 있는언어 사용 능력을 갖추고 있음. |
4+급 |
국어교육을 정상적으로 이수한 수준의 한국어 사용능력을 가지고 있음. 일정 범위 내에서 일반 업무를 수행할 수 있는 기초적인 언어 사용능력을 갖추고 있음. |
4-급 |
고교 교육을 이수한 수준의 한국어 사용 능력을 가지고 있음. 일정 범위 내에서 기본 업무를 수행할 수 있는 기초적인 언어 사용 능력을 갖추고 있음. |
무급 |
국어 사용능력을 위해 노력해야 함. |
※ KBS한국어능력시험은 등급부여 시스템을 보유하고 있다. 시험에 당락 유무가 있는 것은 아니며, KBS가 인정하는 한국어능력 인증 자격과 함께 각 영역별 백분위와 성적이 제공된다.
KBS한국어능력시험 응시자격
KBS한국어능력시험은 자격요건이 존재하지 않는다.
KBS한국어능력시험 응시료
■ 필기시험 : 33,0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