응시자격
유사자격 소지자 |
1. 기사 + 유사 직무분야 실무경력 4년 2. 산업기사 + 유사 직무분야 실무경력 5년 3. 기능사 + 유사 직무분야 실무경력 7년 4. 동일 및 유사 분야 기술사 자격증 소지자 5. 동일 및 유사 분야 외국자격 소지자 |
---|---|
관련학과 졸업자 |
1. 관련학과 졸업자 + 실무경력 6년 2. 3년제 전문대학 졸업자 + 실무경력 7년 3. 2년제 전문대학 졸업자 + 실무경력 8년 4. 기사 수준의 기술훈련과정 이수자 + 실무경력 6년 5. 산업기사 수준의 기술훈련과정 이수자 + 실무경력 8년 |
실무 경력자 |
유사 직무분야 실무경력 9년 |
시험 내용
구분 | 시험과목 | 시험방법 | ||
---|---|---|---|---|
문제형식 | 문항수 | 시험시간 | ||
필기시험 | ① 선박설계 ② 선박건조공학 ③ 선박동력장치설계 ④ 생산관리 및 기타 조선에 관한 사항 | 단답형 및 주관식 논술형 | - | 매교시당 100분 총 400분 |
실기시험 | - | 구술형 면접시험 | - | 30분 정도 |
합격기준
필기시험 | 100점을 만점으로 하여 60점 이상 |
---|---|
실기시험 | 100점을 만점으로 하여 60점 이상 |
응시료
• 필기시험 : 67,800원
• 실기시험 : 87,100원
준비물
① 신분증
② 수험표
필기시험의 경우, 종이 시험지에 시험을 보는 것이 아니라 PC로 시험을 진행하기 때문에 별다른 준비물은 없지만, 시험 전 한 번 이상 확인하는 것을 추천한다. 준비물의 경우, 큐넷>기술자격시험>실기시험안내>수험자 지참 준비물 항목에서 ‘기사’, ‘조선기술사’ 항목 선택 후 준비물을 확인할 수 있다. 지참 준비물 등은 문제의 변경이나 기타 다른 사유로 수량 및 품목 등이 변경될 수도 있으므로 정기적인 확인은 필수이다.
시험일정명 | 접수일 | 시험일 | 합격자발표일 |
---|---|---|---|
국가기술자격 기술사 (2022년도 제127회) 실기(면접) |
2022-06-14 ~ 2022-06-17 | 2022-07-23 ~ 2022-08-02 |
2022-08-19 ~ |
• 활용현황
(1) 취업
① 조선소, 조선해양기자재 제작회사, 해양구조물의 설계 및 제작회사, 해상수송 및 항만장비 개발회사, 해양플랜트 및 해저석유개발회사 등 해운·해양산업 분야에 취업할 수 있다.
② 선급협회, 선박안전원, 수산진흥원, 각종 연구소 및 정부출연기관 등에 취업할 수 있다.
③ 학계로도 진출이 가능하다.
• 우대사항
(1) 우대 : 국가기술자격법에 의해 공공기관 및 일반기업 채용 시 그리고 보수, 승진, 전보, 신분보장 등에 있어서 우대받을 수 있다.
(2) 가산점: 6급 이하 및 기술직공무원 채용시험 시 가산점을 준다. 조선기술사에게는 공업직렬의 조선 직류에서 채용계급이 8·9급, 기능직 기능8급 이하와 6·7급, 기능직 기능7급 이상일 경우 모두 5%의 가산점이 부여된다. 다만, 가산 특전은 매 과목 4할 이상 득점자에게만, 필기시험 시행 전일까지 취득한 자격증에 한한다.
조선기술사 가산점 및 우대사항
자격증명 | 가산점 | 직렬 | 직류 | 기타 우대사항 | |
---|---|---|---|---|---|
조선기술사 | 7급 ~ 9급 | 5% | 공업 | 조선 | - |
소방 | 5% | 소방 | 조선 |
• 난이도 및 공부방법 등
선박해양공학, 조선해양공학과 등 관련학과를 졸업하고, 선박설계, 선박건조공학, 선박동력장치설계, 생산관리 및 기타 조선에 관한 직무를 수행해본 경험이 있으면 합격 가능성이 높다.
조선기술사 필기시험의 합격률은10~50% 내외인데 반해 면접 합격률은 30~50% 수준으로 차이를 보인다. 필기에 합격하면 향후 2년동안 필기시험이 면제되므로 당해 년도 포함 총 3번 면접을 응시할 수 있다. 한 번에 두 시험을 합격하기는 어렵고, 대게 두 번 이상 시험에 도전하여 합격하게 되므로 보통 3년정도 합격에 시간이 소요된다. 조선과 관련한 실무 경험만이 아니라 전문 지식, 응용능력을 종합적으로 평가하기 때문에 이 점 유의하는 것이 좋다. 기존에 직무를 수행해본 경험이 있다면 강점으로 작용할 수 있다.
2000년대 중반까지 시행되던 선박설계기술사, 선박건조기술사, 선박기계기술사가 78회 기술사 시험부터 통합되며 조선기술사 시험이 시행되었다. 이에 따라 출제 범위는 넓어졌으나 상대적으로 난이도는 쉬워졌다고 볼 수 있다. 국내에서 권위있는 시험임에도 불구하고 외국에서 자격이 인정되는 자격증은 아니다.
• 합격생이 알아야 하는 정보
조선기술사 자격은 기술자격증의 꽃이다. 각종 관련분야 취업 뿐만 아니라 승진, 보직, 자격수당 등에서 우대받는 고급자격 · 면허증이다. 기사자격 취득 후 동일직무분야에서 4년, 산업기사는 5년 이상 실무에 종사한 경우 기술사 시험에 응시할 수 있다. 기술사와 같은 전문기술인력은 해당 분야의 전문지식을 바탕으로 엔지니어링 및 관련기술서비스업, 기술시험, 검사 및 분석관련 업무 등으로 진출이 가능하다.
조선소, 조선해양기자재 제작회사, 해양구조물의 설계 및 제작회사, 해상수송 및 항만 장비 개발회사, 해양플랜트 및 해저석유개발회사 등 해운·해양산업 분야에 진출할 수 있으며 그 밖에 선급협회, 선박안전원, 수산진흥원, 각종 연구소 및 정부출연기관에 취업할 수 있다.
기계기술사, 해양기술사, 메카트로닉스기사, 공조냉동기계기술사, 조선기술사, 해양자원개발기사, 해양공학기사, 공조냉동기계기사, 일반기계기사, 조선기사
직업정보선박기관사, 환경 및 해양과학연구원, 선박조립원, 해양공학기술자, 해양환경기사, 해양수산기술자, 해양학연구원, 산업안전관리원, 조선공학기술자, 선박정비원
고객센터 : 1544-6333 ( AM 09:00 ~ PM 19:00 ) | FAX : 032-712-2742 |
Email : [email protected]
주소 : 경기도 부천시 조마루로385번길 92, 1901~1903호 (원미동, 부천테크노밸리 유1센터) |
우편번호 : 14558
대표 : 배성원 | 사업자등록번호 : 585-88-01930
통신판매업 신고번호 제 2020-경기부천-4494 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