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험내용
구분 |
시험과목 |
시험방법 |
||
---|---|---|---|---|
문제형식 |
문항수 |
시험시간 |
||
필기시험 |
① 재무회계 |
객관식 |
60문항 |
80분 |
실기시험 |
회계시스템의 운용 |
컴퓨터 작업형 |
- |
100분 |
합격기준
필기시험 |
100점을 만점으로 하여 과목당 40점 이상, 전과목 평균 60점 이상 |
---|---|
실기시험 |
100점을 만점으로 하여 60점 이상 |
응시료
ㆍ 필기시험 : 17.000원
ㆍ 실기시험 : 22,000원
준비물
① 수험표
② 신분증
③ 전자계산기(공학용 계산기 불가)
④ 필기도구
시험일정명 | 접수일 | 시험일 | 합격자발표일 |
---|
전산회계와 전산회계운용사의 차이는?
전산회계 2급은 세무사회 주관이며 회계원리 지식을 테스트 하고, 이론:실무=3:7 비중으로 출제되는 시험이다. 전산회계운용사는 2급은 재무회계, 원가회계 지식 및 회계시스템 운용 실무 능력을 평가하는 시험이다.
전산회계운용사 실기프로그램은 어디에서 다운로드 받을 수 있나요?
1. 홈페이지(http://license.korcham.net) : 자격종목안내>시행종목안내>국가기술자격의 전산회계운용사>관련자료
2. 웹하드
1) 웹하드(http://www.webhard.co.kr)접속
2) 로그인 : 아이디 korcham, 패스워드 1111
3) 해당폴더 : GUEST폴더>내리기전용>전산회계운용사>수험용프로그램
전산회계운용사 실기프로그램 버전은 매 회차마다 동일한가요?
전산회계운용사 실기프로그램은 회계의 특성상 매년마다 개정되는 회계기준 및 세법을 반영하여 매 회차마다 버전이 변경된다. 확정버전은 대한상공회의소 홈페이지를 통하여 안내 및 프로그램을 공지하니 시험 준비 시 참고해야 한다.
전산회계운용사 실기프로그램별 특징을 알 수 있나요?
① CAMP (2011년부터 도입)
웹케시(주)가 개발한 sERP 실무프로그램을 기반으로 제작한 수험용 및 교육용 프로그램이며 기업은행,국민은행 등 은행권을 중심으로 보급되고 있는 솔루션으로 펌뱅킹, 자금관리 등 거래은행 DB와 연동을 통한 자동 회계처리가 가능한 경쟁력 있는 프로그램으로 중소기업을 주요 대상으로 유지보수하고 있음.
② sPlus (2013년 7월부터 도입)
(주)더존비즈온이 개발한 더존 iPlus 실무프로그램을 기반으로 제작한 수험용 및 교육용 프로그램이며 120여개 학원 및 560여개 고등교육기관(특성화고,전문대학,대학교)의 전산회계 정규교과 프로그램으로 사용하고 있는 국내기업의 회계프로그램으로 시장점유율 1위를 차지하고 있음.
전산회계운용사 필기 또는 실기시험에 계산기 지참이 가능한가요?
전산회계운용사(또는 기업세무실무) 종목은 계산식 문제가 출제되므로 일반 상업용 계산기 지참이 가능하다. 다만, 상공회의소에서 제공해주지 않기 때문에 본인이 지참해야 하며 시험 시 휴대폰 전원을 끄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휴대폰에 있는 계산기는 사용할 수 없으니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내용은 대한상공회의소 홈페이지의 종목안내에서 이미 공지되어 있으니 참고해야 한다.
전산회계운용사 실기시험 유형은 어디서 확인할 수 있나요?
1. 홈페이지(http://license.korcham.net)
:자격종목안내>시행종목안내>전산회계운용사>관련자료
2. 웹하드
1) 웹하드(http://www.webhard.co.kr)접속
2) 로그인 : 아이디 korcham, 패스워드 1111
3) 해당폴더 : GUEST폴더>내리기전용>전산회계운용사
전산회계운용사 필기 또는 실기 시험 상위급수에 바로 응시할 수 있나요?
전산회계운용사 시험은 응시자격이 별도로 정해져 있지 않기 때문에 응시급수 순서에 관계없이 응시 가능하다.
전산회계운용사 필기시험 상위급수에 응시하였을 경우 하위급수 실기시험 응시를 할 수 있나요?
전산회계운용사 필기시험 상위급수 필기시험에 합격한 경우 하위급수 실기시험 응시가 가능하다. 예를 들자면 전산회계운용사 1급 필기시험을 합격한 경우 전산회계운용사 2급과 3급 실기시험을 응시할 수 있으며 해당 등급의 실기시험에 합격한 경우 실기등급의 자격이 부여된다. 이는 필기시험인 경우 하위급수 출제 범위를 포함하기 때문에 가능하다.
전산회계운용사 1,2,3급을 같은 날짜에 동시에 응시 가능한가요?
전산회계 운용사 시험시간은 필기시험인 경우 1,3급을 전반, 2급을 후반으로 배정하여 시행하게 되므로 1급과 2급 또는 2급과 3급은 같은 날짜에 응시가 가능하나, 1급과 3급은 같은 날짜에 응시할 수 없다.
또한 실기시험인 경우 일반적으로 1와 2조 두차례에 걸쳐 실기시험을 진행하며 시행상의에서 시험조별로 급수를 배정하기 때문에 시험 응시 전에 시행상의에 확인해야 한다.
전산회계운용사 실기프로그램 CAMP 설치 후 첫 로그인시 화면상에 어드민과 연결되지 않았다는 오류 메세지가 뜨는데 해결방법이 있나요?
CAMP 프로그램을 설치완료시 다시 시작하기 또는 나중에 다시 시작하기를 선택할 수 있다. 다시 시작하기를 선택하면 컴퓨터 재부팅이 진행되므로 윈도우 새로 시작과 동시에 CAMP Admin이 자동 작동되나 나중에 다시 시작하기를 선택할 경우 최초로 프로그램 실행 시 반드시 CAMP Admin을 수동작동하여야만 한다.
작동방법은 컴퓨터좌측하단의 시작버튼>모든프로그램>CAMP Admin을 클릭하면 프로그램 교육용 로그인이 정상적으로 진행된다.
아울러 CAMP프로그램은 수험용과 교육용이 구분되어 있으며 교육용만 사용이 가능하다.
전산회계운용사 1급 취득의 장점은 뭘까?
전산회계운용사 1급이 다른 자격증보다 우월한 점이 하나 있다. 전산회계운용사 1급의 난이도는 전산세무2급보다 높고 전산세무 1급보다 낮음에도 불구하고 학점은행제 경영학/회계학과에서 인정하는 학점은 18학점으로 되려 TAT 1급과 전산세무 1급보다 2학점이 높다. 학점은행제에서 학점 인정 수치가 크니 회계분야 자격증으로 학점을 취득하려면 전산회계운용사 1급이 실익이 가장 크다. 물론 응시 기회가 1년에 2회인 1급 시험에 비해 1년에 6회씩 있는 기타 시험들의 접근성이 더 높긴 하다.
여타 세무회계 관련 자격증보다 인정학점이 높은 이유는, 국가공인민간자격시험인 다른 시험에 비해 전산회계운용사는 국가기술자격법 시행규칙상 회계 분야의 유일한 국가기술자격이기 때문이다.
효율적으로 공부하는 방법
취득 후 하는 일
① 국내외 대기업, 중소기업 등에서 기업회계 또는 전산회계 분야에 종사할 수 있다.
② 전산회계운용사 취득 시 세무공무원, 회계법인, 컨설팅회사, 국영기업체, 일반기업체, 금융기관, 벤처창업 등 여러 방면으로 진출할 수 있다.
유효기간
해당 자격증은 유효기간이 없는 자격증으로, 만료되지 않는 자격이다.
1 |
필기원서접수 |
Q-net을 통한 인터넷 원서접수 |
---|---|---|
필기접수 기간내 수험원서 인터넷 제출 | ||
사진(6개월 이내에 촬영한) 3.5cm*4.5cm,120*160픽셀 사진파일(JPG)) 수수료 전자결제 | ||
시험장소 본인 선택(선착순) | ||
2 |
필기시험 |
수험표, 신분증, 필기구(흑색 싸인펜등) 지참 |
3 |
합격자발표 |
Q-net을 통한 합격확인(마이페이지 등) |
응시자격 제한종목(기술사, 기능장, 기사, 산업기사, 서비스 분야 일부종목)은 사전에 공지한 시행계획 내 응시자격 서류제출 기간 이내에 반드시 응시자격 서류를 제출하여야 함 | ||
4 |
실기원서 접수 |
실기접수기간내 수험원서 인터넷(www.Q-net.or.kr) 제출 |
사진(6개월 이내에 촬영한 3.5cm*4.5cm픽셀 사진파일JPG, 수수료(정액) | ||
시험일시, 장소 본인 선택(선착순) | ||
5 |
실기시험 |
수험표, 신분증, 필기구 지참 |
6 |
최종합격자발표 |
Q-net을 통한 합격확인(마이페이지 등) |
7 |
자격증 발급 |
(인터넷)공인인증
등을 통한 발급, 택배가능 |
이 자격증을 취득한 사람들이 많이 도전한 자격증입니다 !
이 자격증을 취득하면 도전할 수 있는 직업입니다!
고객센터 : 1544-6333 ( AM 09:00 ~ PM 19:00 ) | FAX : 032-712-2742 |
Email : [email protected]
주소 : 경기도 부천시 조마루로385번길 92, 1901~1903호 (원미동, 부천테크노밸리 유1센터) |
우편번호 : 14558
대표 : 배성원 | 사업자등록번호 : 585-88-01930
통신판매업 신고번호 제 2020-경기부천-4494 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