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개요 : 항공 정비 지식 및 기술 전문 인력 양성을 위해 제정된 제도이다. 자격증 취득 후 성능 시험, 동력 및 착륙 장치 및 시스템 점검 등을 수행할 수 있다.
• 수행직무 :
(1) 항공산업기사는 항공기 제작이나 수리 및 개조 시 해당 항공기의 기술도서나 도면 등의 개발 업무를 돕고, 자재의 재질이나 규격이 일치하는지 검사하며, 작업이 완료된 항공기의 성능을 시험, 안전성 검사를 한다.
(2) 항공기의 안전운항을 위한 항공기 정비업무 시에는 항공기의 동력장치, 정비업무 시에는 항공기의 동력장치, 착륙장치, 조종장치, 기체, 유압 및 기압시스템 등을 점검하고, 파손이나 부식상태, 변형 등 이상이 없는지 확인하는 업무를 수행한다.
(3) 고장 부위를 분해하고 수리 또는 교체의 필요성을 판단하기 위하여 명세서와 비교·검사하여 작동상태를 살핀다.
(4) 점검 카드 목록에 따라 전기, 보기 계통을 점검하고, 항공기에 장착되어 있는 기관의 작동상태를 정비한다.
(5) 부품을 점검하고 교환주기를 확인하여 사용 수명이 완료된 부품을 교체한다.
설치 또는 수리부분의 작동상태를 검사·확인한다.
(6) 오일 및 공압류의 유출 등 이상이 없는지 확인하고 이상 발견 시 원인을 찾고 수리한다.
(7) 신종 항공기 기술정보, 안전운항 규정 등의 교육을 이수한다.
• 특징 : 항공산업기사 자격의 검정방식은 기존의 검정형과 과정평가형이 병행하여 운영되고 있다.
▼ 관련학과 / 관련 직업 / 관련 자격증
관련학과 | 관련직업 | 관련 자격증 |
---|---|---|
항공기계공학 항공전자공학 항공통신공학 항공우주공학과 무인항공기학과 항공교통물류학과 항공운항학과 항공정비학과 기계공학과 기계설계학과 산업기계공학과 융합기계공학과 융합기술경영학과 로봇공학과 | 항공정비원 제트엔진수리원 항공기계기정비원 항공기기체정비검사원 항공기동체정비원 항공기보조기계정비원 항공기부속품기계원 항공기정비사 산업안전원 위험관리원 원자력공학기술자 | 항공기체기술사 항공기관기술사 항공기관정비기능사 항공장비정비기능사 항공전자정비기능사 항공기체정비기능사 항공정비사 항공교통관제사 항공기관사 항공운항관리사 항공기사 |
관련부처 | 국토교통부 | 시행기관 | 한국산업인력공단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