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매사 시험내용
구분 | 시험과목 | 시험방법 | ||
---|---|---|---|---|
시험과목 | 출제문항수 | 시험 시간 | ||
1차시험 | 1교시 | 유통상식 | 25 | 50분 |
25 | ||||
경매실무(경매수지도 포함) | ||||
2교시 | 25 | 50분 | ||
도매시장관계법령 | ||||
25 | ||||
상품성 평가 | ||||
2차시험 | - | 모의 경매진행 (상품확인, 락자 결정능력, 호창·성량 및 경매태도 등) | 전자식2 수지식2 | - |
※ 경매사 시험은 청과, 수산, 축산, 화훼, 약용, 양곡으로 구분된다.
경매사 합격기준
1차시험 |
100점을 만점으로 하여 과목당 40점 이상, 전과목 평균 60점 이상 |
---|---|
2차 시험 |
100점을 만점으로 하여 70점 이상 |
경매사 응시료
• 1차시험: 50,000원
• 2차시험: 35,000원
시험일정명 | 접수일 | 시험일 | 합격자발표일 |
---|---|---|---|
20회 2차 |
2022-05-30 ~ 2022-06-03 | 2022-07-09 |
2022-08-03 ~ 2022-10-01 |
경매사 시험의 합격률은 어떨까?
경매사 자격시험은 필기와 모의경매 진행을 보게 된다. 시험과목의 경우 필기시험은 4지 택일형 객관식으로 농수산물유통 및 가격안정에 관한 법률 및 그 하위법령 부류별 상품성 평가, 농수산물 유통론 과목이 출제된다. 합격률은 1차시험의 경우 2021년 기준 441명의 응시자 중 200명이 합격하여 합격률이 45.4%였으며, 2차시험의 경우 2021년 기준 198명의 응시자 중 169명이 합격하여 합격률이 85.4%였다.
경매사 직업의 전망은 어떨까?
경매사 중장기 인력수급 전망에 따르면, 상품중개인을 포함한 상품중개인 및 경매사의 종사자 수는 16,000명이며, 향수 10년간 고용은 연평균 0.9%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고 한다. 반대로 최근 스마트폰, 태블릿, PC등 모바일 기반 인터넷의 급속한 발전으로 장소와 시간을 분문하고 언제 어디에서든지 자유롭게 온라인을 통한 상품 구입 및 거래가 가능해지고 있고 경매·입찰 방식의 축소와 직거래의 활성화 등으로 경매사 고용이 축소될 것이라는 예측도 있다고 한다.
수산품 경매사와 미술품 경매사, 모두 같은 경매사일까?
농수산물, 축산 등 우리의 일상에 없어선 안 되는 것들과 최근에는 생필품이 아니더라도 고가의 저택 및 미술품 등이 경매로 나오는 만큼, 경매사 역시 그 분야가 상당히 세분화 되어있다. 농수산물경매사, 미술품경매사, 골동품 경매사 등이 있으며, 당연히 근무 환경이나 맡는 직무가 조금씩 다르다.
경매사와 상품중개인의 차이점은 무엇일까?
상품중개인은 골동품, 예술품 등의 제품을 경매에 공급하기도 하고, 출하된 상품에 최고 가격을 제시하는 상품 구매자를 연결하는 일을 수행하며, 경매인은 출하된 농수산물으 ㄹ확인하고 물품에 대한 경매 우선순위를 결정하며 가격평가, 최저 가격 설정, 낙찰자의 결정 등 경매 업무를 주관하는 일을 수행한다.
경매사 필기 공부 Tip
경매사 필기 과목의 경우, 농수산물 유통 및 가격안정에 관한 법률 및 그 하위법령, 상품성 평가, 농수산물유통론 총 3과목에 대한 내용을 다루게 된다. 해당 과목에 대한 기초이론을 숙지 후 최신 시중 문제집을 참고하여 과년도 문제들을 반복 학습하는 것이 중요하다. 아마 대부분의 사람들은 필기시험 준비를 문제집으로 시작할 것이다. 필기시험의 경우 전략적으로 공부하는 것이 필요한데, 시중 문제집을 활용해서 과년도 위주로 공부를 하는 것이 좋다. 해당 자격증을 공부할 때 배경지식이 있으면 공부하면서 이해가 수월하게 공부할 수 있지만, 배경지식이 부족하다면 공부가 조금 버거울 수 있다. 이런 경우 인터넷 강의나 학원을 다니는 등 자신에게 편한 방법을 선택해 충분한 학습을 권장한다.
경매사 실기 공부 Tip
경매사 실기의 경우 모의경매진행, 상품확인, 경락자 결정능력, 호창·성량 및 경매태도 총 4과목에 대한 내용을 다루게 된다. 실기시험의 경우 전자식 2문제, 수지식 2문제로 4문제로 진행되며, 각 문제당 15초씩으로 짧은 시간이다. 이론서 또는 유튜브를 통해 관련 설명을 들을 수 있으며, 충분한 학습과 실습을 통한 반복 학습을 권장한다.
경매사의 연봉은 얼마나 될까?
경매사 자격증을 취득하고 경매를 주관하고 잇는 농수산물 도매회사나 농협 혹은 수협에 취업하는 경우가 많다. 취업을 하게 되면 경매의 기록을 보조하거나 경매장 관리 등 5~10년의 실무 경험을 쌓은 후 경매를 주관할 수 있으며 평균 수입은 월 370만원정도라고 한다. 연봉으로 따지면 약 4300만원 정도로 경매사는 다른 직업에 비해 복리후생 수준이 다소 높은 편이다.
경매사 자격증을 취득하면 어떤 일을 하게 될까?
경매사는 경미일시와 장소조정을 하고 경매를 해야 할 품목의 우선순위 조정을 하게 된다. 또한 상품의 선호도와 품질, 다른 도매시장의 경락가격과 물량등을 파악하며, 시장안의 물량 재고량, 소비자 소비성향 등 다양한 정보를 수집하고 파악한다. 구매자들을 자세히 관찰해 경쟁 입찰을 자극시키고 다양한 방식으로 경매를 진행하게 된다.
경매사 근무환경은?
농산물 반입 시간은 품목에 따라 차이가 있지만 주로 오후 6시~10시 사이에 이루어진다. 신선도 유지가 중요한 채소는 경매가 즉각 이루어지고, 과일 등은 다음날 새벽이나 오전에 경매가 이루어진다. 축산물의 반입은 오전에, 수산물의 반입은 오후 9시부터 다음날 새벽 3시 사이에 이루어 지는데, 신선도 유지가 중요하므로 대부분 즉각 경매된다. 추석 등 명절 성수기에는 농수산물의 반입과 경매시간이 탄력적으로 조정되는데, 취급하는 품목에 따라 조금씩 차이가 있지만 경매사는 대체로 야간과 새벽에 일을 하게 된다. 이로 인해 신체리듬이 불규칙해 지고, 체력적으로도 부담이 될 수 있다. 일반덕으로 주 5일 근무를 하지만, 도매시장의 휴장일에도 다음날의 업무준비를 위해 일하기도 한다.
유효기간
해당 자격증은 유효기간이 없는 자격증으로, 만료되지 않는 자격이다.
접수방법
1 | 필기원서접수 | Q-net을 통한 인터넷 원서접수 |
---|---|---|
필기접수 기간내 수험원서 인터넷 제출 | ||
사진(6개월 이내에 촬영한)3.5cm*4.5cm,120*160픽셀 사진파일(JPG))수수료 전자결제 | ||
시험장소 본인 선택(선착순) | ||
2 | 필기시험 | 수험표,신분증,필기구(흑색 싸인펜등)지참 |
3 | 합격자발표 | Q-net을 통한 합격확인(마이페이지 등) |
응시자격 제한종목(기술사,기능장,기사,산업기사,서비스 분야 일부종목)은 사전에 공지한 시행계획 내 응시자격 서류제출 기간 이내에 반드시 응시자격 서류를 제출하여야 함 | ||
4 | 실기원서 접수 | 실기접수기간내 수험원서 인터넷(www.Q-net.or.kr)제출 |
사진(6개월 이내에 촬영한3.5cm*4.5cm픽셀 사진파일JPG,수수료(정액) | ||
시험일시,장소 본인 선택(선착순) | ||
5 | 실기시험 | 수험표,신분증,필기구 지참 |
6 | 최종합격자발표 | Q-net을 통한 합격확인(마이페이지 등) |
7 | 자격증 발급 | (인터넷)공인인증 등을 통한 발급,택배가능 |
수산물품질관리사, 화훼장식산업기사, 품질경영기사, 화훼장식기능사, 농산물품질관리사, 품질경영산업기사, 경영지도사, 회계관리1급, 회계관리2급, 국제무역사
직업정보경영기획사무원, 낙농업관련종사원, 농수산물중개인, 부동산중개인, 상품중개인, 선물중개인, 선박중개인(용선중개인), 정보중개인, 증권중개인, 화훼재배기술자
고객센터 : 1544-6333 ( AM 09:00 ~ PM 19:00 ) | FAX : 032-712-2742 |
Email : [email protected]
주소 : 경기도 부천시 조마루로385번길 92, 1901~1903호 (원미동, 부천테크노밸리 유1센터) |
우편번호 : 14558
대표 : 배성원 | 사업자등록번호 : 585-88-01930
통신판매업 신고번호 제 2020-경기부천-4494 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