응시자격
유사자격 소지자 |
1. 산업기사 + 유사 직무분야 실무경력 1년 2. 기능사 + 유사 직무분야 실무경력 3년 3. 동일 및 유사 분야 기사 자격증 소지자 4. 동일 및 유사 분야 외국자격 소지자 |
---|---|
관련학과 졸업자 |
1. 관련학과 졸업자 또는 졸업예정자 2. 3년제 전문대학 졸업자 + 실무경력 1년 3. 2년제 전문대학 졸업자 + 실무경력 2년 4. 기사 수준의 기술훈련과정 이수자 5. 산업기사 수준의 기술훈련과정 이수자 + 실무경력 2년 |
실무 경력자 |
유사 직무분야 실무경력 4년 이상 |
시험내용
구분 |
시험과목 |
시험방법 |
||
---|---|---|---|---|
문제형식 |
문항수 |
시험시간 |
||
필기시험 |
①
조경사 |
객관식 4지 택일형 |
과목당 20문항 |
과목당 30분 |
실기시험 |
조경설계 및 시공실무 |
작업형 |
- |
5시간 정도 |
합격기준
필기시험 |
100점을 만점으로 하여 과목당 40점 이상, 전과목 평균 60점 이상 |
---|---|
실기시험 |
100점을 만점으로 하여 60점 이상 |
응시료
⦁ 필기시험 : 19,400원
⦁ 실기시험 : 27,100원
준비물
번호 |
재료명 |
규격 |
단위 |
수량 |
비고 |
---|---|---|---|---|---|
1 |
3각축척자(삼각스케일) |
300mm |
EA |
1 |
|
2 |
T자 |
중형 |
EA |
1 |
|
3 |
기타조경계획에 필요한 공구 |
표준용 |
SET |
1 |
|
4 |
볼펜 |
흑색 |
EA |
1 |
|
5 |
삼각자 |
제도용 |
SET |
1 |
|
6 |
소형계산기 |
소형 |
EA |
1 |
|
7 |
스카치테이프 |
소형 |
EA |
1 |
|
8 |
연필(샤프연필) |
제도용(0.5mm) |
EA |
1 |
|
9 |
운형자 |
null |
SET |
1 |
|
10 |
원형템플렛 |
null |
EA |
1 |
|
11 |
지우개 |
null |
EA |
1 |
|
12 |
칼혹은가위 |
소형 |
EA |
1 |
스카치테이프절단용 |
13 |
콤파스 |
제도용 |
EA |
1 |
|
시험일정명 | 접수일 | 시험일 | 합격자발표일 |
---|---|---|---|
국가기술자격 기사 (2022년도 제2회) 실기(면접) |
2022-06-20 ~ 2022-06-23 | 2022-07-24 ~ 2022-08-05 |
2022-08-19 ~ |
국가기술자격 기사 (2022년도 제4회) 필기 |
2022-08-16 ~ 2022-08-19 | 2022-09-14 ~ 2022-10-03 |
2022-10-13 ~ |
국가기술자격 기사 (2022년도 제4회) 실기(면접) |
2022-10-25 ~ 2022-10-28 | 2022-11-19 ~ 2022-12-02 |
2022-12-16 ~ |
조경기사를 취득하면 산림경영지도원의 자격을 가질 수 있을까?
참고하면 좋을 대표적인 조경분야 종류
조경설계분야 진로는 조경기사 자격증이 꼭 필요할까?
조경기사 가산점 및 우대사항
자격증명 | 가산점 | 직렬 | 직류 | |
---|---|---|---|---|
조경기사 | 7급 ~ 9급 | 5% | 임업 | 산림조경, 산림자원 |
환경 | 일반환경 | |||
시설 | 도시계획, 일반토목, 농업토목, 교통시설, 도시교통설계, 시설조경, 디자인 |
조경기사 자격증 난이도는 어떨까?
① 평균적으로 필기는 20%대, 실기는 40%대의 합격률을 보이고 있다. 필기의 난이도가 매우 높으며 과거 2014년에는 6.1%의 합격률을 보이기도 했다. 공부 범위가 워낙 방대하고 암기해야 하는 내용이 많다. 실기의 경우 적산에 대한 부분은 기출문제를 통해 어느정도 점수를 획득할 수 있으나 도면 부분이 특히 어렵다.
② 2020년 응시자들의 시험준비 경로는 다음과 같다.
구 분 | 학교 | 학원 | 직업훈련기관 | 온라인 | 독학 | 기타 | |
---|---|---|---|---|---|---|---|
필기 | 응시자(명) | 921 | 193 | 97 | 333 | 2,257 | 66 |
합격자(명) | 237 | 60 | 32 | 98 | 615 | 10 | |
합격률(%) | 25.7 | 31.1 | 33 | 29.4 | 27.2 | 15.2 | |
실기 | 응시자(명) | 344 | 154 | 52 | 133 | 934 | 15 |
합격자(명) | 158 | 80 | 17 | 50 | 393 | 4 | |
합격률(%) | 45.9 | 51.9 | 32.7 | 37.6 | 42.1 | 26.7 |
③ 2020년 응시자들의 시험 준비기간은 3개월 미만이 가장 많았다.
구 분 | 3개월 미만 | 3~6개월 | 6~12개월 | 1년~2년 | 2년~3년 | 3년 이상 | |
---|---|---|---|---|---|---|---|
필기 | 응시자(명) | 2,296 | 807 | 347 | 198 | 88 | 131 |
합격자(명) | 582 | 264 | 106 | 53 | 20 | 27 | |
합격률(%) | 25.3 | 32.7 | 30.5 | 26.8 | 22.7 | 20.6 | |
실기 | 응시자(명) | 881 | 399 | 170 | 106 | 25 | 51 |
합격자(명) | 400 | 168 | 65 | 48 | 9 | 12 | |
합격률(%) | 45.4 | 42.1 | 38.2 | 45.3 | 36 | 23.5 |
조경기사 효율적으로 공부하는 방법
① 적산은 기출유형 반복 출제! 기출문제의 문제유형과 풀이과정을 숙지할 것!
적산은 공식을 외우며 기출을 3번이상 보는 것을 추천한다. 적산은 공식을 정확히 알고 문제에 대입해 제대로 푸는것이 중요하기 때문에 기출회독을 통해 유사문제에 대한 대응력을 기르고 반복암기를 통해 문제풀이를 정확하게 적는 것이 중요하다. 또한 신유형의 경우 워낙 어렵게 출제되고 시간누수가 많이 발생하기 때문에 기출회독을 통해 쌓은 실력으로 기본 문제들을 완벽하게 풀어놓으셨다면 신유형은 과감히 넘기는 것도 좋은 방법이다. 다만, 공정표, 기계기공, 인력운반, 항공촬영 등등의 빈출 문제유형은 꼭 숙지하는 것이 좋겠다.
② 잘 되어있는 도면을 따라 그리는 연습을 많이 할 것
작업형 시험은 대략 3시간 동안 3장의 도면을 작업해야한다. 유형별 연습이 안되어있다면 시간이 부족해 불합격하게 된다. 따라서 속도조절도 중요하기 때문에 평소 잘 되어있는 도면을 따라 그리는 연습을 많이 하는 것이 좋다. 이 때 문제에서 요구하는 요구조건을 파악하고 이해하는 연습을 해야하며, 출제는 소공원, 근린공원, 생태공원, 옥상정원, 주차장 등등 종류가 다양하니 많은 종류의 도면을 그려보고 타이머를 맞춰놓고 도면하나를 완성하는 시간을 점점 줄여나가는 연습을 해야 한다. (다만, 참고하는 도면을 너무 정확하게 다 따라 그리기보다는 자기만의 방식대로 참고하여 그리는 것이 좋으면 동선을 최소화하는 것이 좋다.)
③ 시설물배치도 보다 수목배치도을 더 정확하게 그릴 것
도면은 시설물배치도를 완벽하게 그리는 것 보다 수목배치도를 완벽하게 그리는 이 점수 획득에 더 유리하다. 시설물배치는 디테일에 신경쓰기보다 법면과 계단 등의 위치만 정확하게 그려넣고, 수목배치도 + 단면도 + 개념도를 깔끔하고 정확하게 균형에 맞춰 그려내는데 시간을 투자하시는 것이 좋다.
④ 나만의 방식을 만들 것
좋은 예시의 도면을 참고해 문제유형별로 도면을 그려내는 연습을 했다면 실전 시험에서 문제에 맞춰 내가 대응할 수 있도록 유형에 맞춰 본인이 사용할 수목종류, 건물, 시설물 등을 배치하고 그리는 스타일을 정하고, 사용할 양과 규격을 외워두고 문제의 요구사항에 맞춰 조금씩 조절해나가면서 자기만의 방식으로 도면을 그려나가는 법을 터득하는 것이 좋다.
⑤ 도면 실기요령 팁
설계시험에서 많은 수험생들이 깨끗하고 보기 좋게 그리는 것 또는 선 굵기 및 인출선을 많이 신경 쓰지만 문제의 문제의 기본적인 요구사항에만 충실해도 점수를 주기 때문에 보여지는 부분에 너무 집중하며 시간을 지체할 필요는 없다. 대신 문제에서 요구하는 등고선 레벨 값이나 요구수종 및 수종규격, 요구동선, 단면도 등의 요소에는 충실해야 한다. 즉 너무 작은 디테일적인 부분 보다는 반드시 정확하게 그려내야 하는 것들에 집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 윤곽은 확실하게 그리는 것이 좋다. 채점자에게 깔끔한 인상을 줄 수 있기 때문 (하지만 너무 보기 좋게 그리려고 집착하지 말 것)
• 문제에서 요구하는 사항을 충실하게 적용할 것
• 도면 옆에 방위나 축적을 쓰지 않으면 무조건 감점이니 꼭 표기할 것
• 도면에 표시한 수목의 규격과 수량표 규격은 일치해야 한다.
조경기사 취득 후 어떤 업무를 수행할까?
① 조경기술자는 정원, 가로, 공원 등을 지형과 용도에 맞게 조경계획 및 설계하며, 조경공사를 관리감독하고 조경시설을 유지·관리한다.
② 고객과의 협의를 통해 조경 설계 계획을 수립하고, 지역별 최적의 조경 설계 기준을 설정한다. 나무·관목·정원·안뜰·바닥 등과 같은 특성을 반영하여 상세한 제도 작성을 준비하며, 비용 견적을 낸다.
③ 지형적 위치선정, 토양식물의 성장도 등과 같은 대기 조건에 관한 자료를 수집하고 분석한다.
④ 시공계획에 의한 공정관리, 자재품질, 규격검수, 안전, 환경관리 등 공사관련 업무를 수행한다.
조경기사는 어디에 취직할 수 있을까?
조경설계 및 엔지니어링회사, 조경컨설팅회사, 조경식재공사업체, 조경시설물설치공사업체, 조경관리업체, 정원수 및 온실재배업체, 건설회사의 조경부서 그리고 공원이나 학교, 아파트 단지 등의 시설관리부서, 조경자재 업체로 취업할 수도 있다. 기술직 공무원이 되거나 각종 정부투자기관에 취업할 수도 있다. 조경 관련 석·박사 학위를 취득하여 대학 교수로 진출하기도 한다.
조경기사 구인구직 및 연봉 정보는 얼마나 될까?
① ‘국가기술자격 종목별 채용시 활용도 조사결과(한국산업인력공단/’21.10.)‘ 에 따르면, 채용공고에서 ’조경기사‘ 채용(우대)건수는 다음과 같다.
구 분 | 계 | 2018년 | 2019년 | 2020년 | ||||
---|---|---|---|---|---|---|---|---|
구인 건수 | 구인 인원 | 구인 건수 | 구인 인원 | 구인 건수 | 구인 인원 | 구인 건수 | 구인 인원 | |
대기환경기사 | 1,215건 | 1,608명 | 415건 | 553명 | 446건 | 595명 | 354건 | 460명 |
② 2022년 3월 워크넷에서 ’조경기사 자격증 우대‘로 조건 검색한 결과 101건의 채용정보가 등록되어 있고, 정규직은 98건이다.
③ 국가기술자격 종목별 채용시장 활용도 조사결과(’21.10./한국산업인력공단)
구 분 | 2018년 | 2019년 | 2020년 |
---|---|---|---|
대기환경기사 채용(우대) 요건 직장의 제시임금 | 229만원 | 241만원 | 247만원 |
④ 진출 가능 직종인 ‘조경기술자’를 기준, 하위(25%) 3,200만원, 중위 3,950만원, 상위(25%) 4,100만원으로 조사되었다.
*재직자를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 결과로 경력, 근무업체 규모 등에 따라 차이가 있을 수 있음(워크넷)
유효기간
해당 자격증은 유효기간이 없는 자격증으로, 만료되지 않는 자격이다.
1 | 필기원서접수 | Q-net을 통한 인터넷 원서접수 |
---|---|---|
필기접수 기간내 수험원서 인터넷 제출 | ||
사진(6개월 이내에 촬영한) 3.5cm*4.5cm,120*160픽셀 사진파일(JPG)) 수수료 전자결제 | ||
시험장소 본인 선택(선착순) | ||
2 | 필기시험 | 수험표, 신분증, 필기구(흑색 싸인펜등) 지참 |
3 | 합격자발표 | Q-net을 통한 합격확인(마이페이지 등) |
응시자격 제한종목(기술사, 기능장, 기사, 산업기사, 서비스 분야 일부종목)은 사전에 공지한 시행계획 내 응시자격 서류제출 기간 이내에 반드시 응시자격 서류를 제출하여야 함 | ||
4 | 실기원서 접수 | 실기접수기간내 수험원서 인터넷(www.Q-net.or.kr) 제출 |
사진(6개월 이내에 촬영한 3.5cm*4.5cm픽셀 사진파일JPG, 수수료(정액) | ||
시험일시, 장소 본인 선택(선착순) | ||
5 | 실기시험 | 수험표, 신분증, 필기구 지참 |
6 | 합격자발표 | Q-net을 통한 합격확인(마이페이지 등) |
7 | 자격증 발급 | (인터넷)공인인증 등을 통한 발급, 택배가능 (방문수령)사진(6개월 이내에 촬영한 3.5cm*4.5cm 사진) 및 신분확인서류 |
도시계획기술사, 산림기술사, 임업종묘기사, 조경기술사, 산림기사, 종자기사, 조경기능사, 임업종묘기능사, 종자산업기사, 나무의사
직업정보시각디자이너, 원예기술자, 임업기술자, 임학·산림학연구원, 제품디자이너, 조경기술자, 조경원, 직물디자이너(텍스타일디자이너), 플로리스트, 환경설비기술자
고객센터 : 1544-6333 ( AM 09:00 ~ PM 19:00 ) | FAX : 032-712-2742 |
Email : [email protected]
주소 : 경기도 부천시 조마루로385번길 92, 1901~1903호 (원미동, 부천테크노밸리 유1센터) |
우편번호 : 14558
대표 : 배성원 | 사업자등록번호 : 585-88-01930
통신판매업 신고번호 제 2020-경기부천-4494 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