응시자격
유사자격 소지자 |
1. 기사 + 유사 직무분야 실무경력 4년 2. 산업기사 + 유사 직무분야 실무경력 5년 3. 기능사 + 유사 직무분야 실무경력 7년 4. 동일 및 유사 분야 기술사 자격증 소지자 5. 동일 및 유사 분야 외국자격 소지자 |
---|---|
관련학과 졸업자 |
1. 관련학과 졸업자 + 실무경력 6년 2. 3년제 전문대학 졸업자 + 실무경력 7년 3. 2년제 전문대학 졸업자 + 실무경력 8년 4. 기사 수준의 기술훈련과정 이수자 + 실무경력 6년 5. 산업기사 수준의 기술훈련과정 이수자 + 실무경력 8년 |
실무 경력자 |
유사 직무분야 실무경력 9년 |
시험 내용
구분 | 시험과목 | 시험방법 | ||
---|---|---|---|---|
문제형식 | 문항수 | 시험시간 | ||
필기시험 | ① 가축육종 ② 번식 ③ 영양 ④ 생리 ⑤ 사양 ⑥ 사료작물 ⑦ 초지 ⑧ 가축생산 및 축산경영에 관련 사항 | 단답형 및 주관식 논술형 | - | 매교시당 100분 총 400분 |
면접시험 | - | 구술형 면접 | - | 30분 정도 |
합격기준
필기시험 | 100점을 만점으로 하여 60점 이상 |
---|---|
실기시험 | 100점을 만점으로 하여 60점 이상 |
응시료
• 필기시험 : 67,800원
• 실기시험 : 87,100원
준비물
① 신분증
② 수험표
필기시험의 경우, 종이 시험지에 시험을 보는 것이 아니라 PC로 시험을 진행하기 때문에 별다른 준비물은 없지만, 시험 전 한 번 이상 확인하는 것을 추천한다. 준비물의 경우, 큐넷>기술자격시험>실기시험안내>수험자 지참 준비물 항목에서 ‘기사’, ‘축산기술사’ 항목 선택 후 준비물을 확인할 수 있다. 지참 준비물 등은 문제의 변경이나 기타 다른 사유로 수량 및 품목 등이 변경될 수도 있으므로 정기적인 확인은 필수이다.
시험일정명 | 접수일 | 시험일 | 합격자발표일 |
---|
• 활용현황
(1) 축산물유통회사, 유가공회사, 사료회사 등 자영업에 종사할 수 있다.
(2) 직접 농장을 경영할 수 있다.
(3) 축산관련 협동조합, 축산물유통회사, 유가공회사, 사료회사 등에 취업이 가능하다.
(4) 축산관련 공무원, 축산연구소의 연구직 공무원, 종축개량협회 등으로도 진출이 가능하다.
(5) 농장에서 근무할 수 있다.
• 우대사항(가산점, 우대사항 등)
(1) 국가기술자격법에 의해 공공기관 및 일반기업 채용 시 그리고 보수, 승진, 전보, 신분보장 등에 있어서 우대받을 수 있다.
(2) 6급 이하 및 기술직공무원 채용시험 시 가산점을 준다. 축산기술사에게는 농업직렬의 축산, 농화학, 생명유전 직류와 식품위생직렬의 식품위생 직류에서 채용계급이 8·9급, 기능직 기능8급 이하와 6·7급, 기능직 기능7급 이상일 경우 모두 5%의 가산점이 부여된다. 다만, 가산 특전은 매 과목 4할 이상 득점자에게만, 필기시험 시행 전일까지 취득한 자격증에 한한다.
(3) 축산기술사 자격을 취득하면, 가축전염예방법에 의하여 가축방역사로 위촉할 수 있는 자격, 축산물가공처리법에 의한 검사관이 행하는 가축 및 그 식육의 검사에 대한 보조업무 등을 수행하는 검사원의 자격이 주어진다.
(4) 축산법에 의하면 축산분야 산업기사 이상의 자격 취득자는 시, 도지사의 면허를 받아 수정사가 될 수 있다.
축산기술사 가산점 및 우대사항
자격증명 | 가산점 | 직렬 | 직류 | 기타 우대사항 | |
---|---|---|---|---|---|
축산기술사 | 7급 ~ 9급 | 5% | 농업 | 축산, 생명유전 | - |
식품위생 | 식품위생 |
• 진로 및 전망
축산관련 협동조합, 축산물유통회사, 유가공회사, 사료회사, 질병방역, 축산관련공무원 등으로 진출할 수 있다. 농장을 경영하거나 농장근무, 자영업 등에 종사할 수 있다.
동물자원은 인류의 식량자원이며, 생활환경을 조성하는데 중요한 요소이다. 따라서 이 소중한 자원을 어떻게 관리하고 이용하느냐에 따라 삶의 질이 좌우된다. 동물자원은 인류에게 귀중한 식품, 의류, 약품의 원료를 제공하고, 애완동물로서 현대인에게 매우 중요한 위치를 차지한다.
동물산업의 대상이 소, 돼지, 닭 등의 주요 축종으로부터 모튼 동물로 확대되고 있으며, 시설자동화 및 유전공학적인 기법에 의한 생산성의 증가와 새로운 기능성 물질의 창출을 탐색하는 등 축산 관련 산업도 전문화 되고있다.
국민소득이 증대됨에 따라 축산물소비량도 점차 증가하고 있으며, 최근 응시자와 합격자수가 증가하다 감소하는 추세로 바뀌고 있다.
이 자격증을 취득하면 도전할 수 있는 직업입니다!
축산기술사, 축산기사, 축산산업기사, 축산기능사, 가축인공수정사
직업정보낙농업관련종사원, 농림어업관련단순종사원, 공항검역관, 가축사육자, 농업기술자, 축산 및 수의학연구원
고객센터 : 1544-6333 ( AM 09:00 ~ PM 19:00 ) | FAX : 032-712-2742 |
Email : [email protected]
주소 : 경기도 부천시 조마루로385번길 92, 1901~1903호 (원미동, 부천테크노밸리 유1센터) |
우편번호 : 14558
대표 : 배성원 | 사업자등록번호 : 585-88-01930
통신판매업 신고번호 제 2020-경기부천-4494 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