응시자격
유사자격 소지자 |
1. 기능사 + 유사 직무분야 실무경력 1년 2. 동일 및 유사 분야 산업기사 자격증 소지자 3. 동일 및 유사 분야 외국자격 소지자 |
---|---|
관련학과 졸업자 |
1. 관련학과 졸업자 또는 졸업예정자 2. 관련학과 전문대학 졸업자 3. 산업기사 수준의 기술훈련과정 이수자 |
실무 경력자 |
유사 직무분야 실무경력 2년 이상 |
시험내용
구분 | 시험과목 | 시험방법 | ||
---|---|---|---|---|
문제형식 | 문항수 | 시험시간 | ||
필기시험 | ① 패션정보 분석 ② 패션상품 기획 ③ 패션상품 개발기획 ④ 패션상품 판매전략 | 객관식 4지 택일형 | 80문항 (과목당20문항) | 120분 (과목당30분) |
실기시험 | 패션머천다이징 실무 | 작업형 | - | 5시간 정도 |
시험과목별 NCS분류
◎ 국가기술자격의 현장성과 활용성 제고를 위해 국가직무능력표준(NCS)를 기반으로 자격의 내용 (시험과목, 출제기준 등)을 직무 중심으로 개편하여 시행합니다.
과목명 | 활용NCS능력단위 | NCS세분류 | 과목명 | 활용NCS능력단위 | NCS세분류 |
---|---|---|---|---|---|
패션정보 분석 | 패션시장 현황분석 | 패션머천다이징 실무 | 패션시장 현황분석 | ||
의류유통 환경분석 | 패션상품 판매분석 | ||||
자사브랜드 전략 분석 | 패션상품 예산기획 | ||||
패션상품 기획 | 패션상품 판매분석 | 패션상품기획 | |||
패션상품 예산기획 | 패션상품품평 | ||||
패션상품 기획 | 패션상품생산기획 | ||||
패션상품 품평 | 패션상품영업기획 | ||||
의류가격 전략수립 | 패션상품 시제품 개발기획 | ||||
패션상품 개발기획 | 패션상품 시제품 개발기획 | 패션상품 생산준비 | |||
패션상품 생산준비 | 자사브랜드 전략 분석 | ||||
패션디자인 보완상품개발 | 의류유통 환경분석 | ||||
패션상품생산기획 | |||||
패션상품 판매전략 | 패션상품영업기획 | ||||
패션상품판매관리 | |||||
패션매장유지관리 | |||||
의류 온라인 유통관리 |
☞ NCS 세분류를 클릭하시면 관련 정보를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출처 : NCS(https://www.ncs.go.kr)
※ 국가직무능력표준(NCS)란? 산업현장에서 직무를 수행하기 위해 요구되는 지식·기술·태도 등의 내용을 국가가 산업부문별·수준별로 체계화한 것
합격기준
필기시험 | 100점을 만점으로 하여 과목당 40점 이상, 전 과목 평균 60점 이상 |
---|---|
실기시험 | 100점을 만점으로 하여 60점 이상 |
시험일정명 | 접수일 | 시험일 | 합격자발표일 |
---|---|---|---|
국가기술자격 기사 (2022년도 제3회) 실기(면접) |
2022-09-05 ~ 2022-09-08 | 2022-10-16 ~ 2022-10-28 |
2022-11-11 ~ |
패션머천다이징산업기사 자격을 취득하면 우대를 받을 수 있나요?
일반기업이나 공공기관에서는 보수, 승진 등에서 국가기술자격법에 따라 우대를 받을 수 있으며 통상 기술직 공무원 채용을 할 때, 해당 직류에 지원하게 되면 3%의 가산점을 준다. 다만 과목마다 40점 이상을 득점한 경우에만 이 가산점을 받을 수 있다.
이 자격증을 취득하면 어디서 일을 할 수 있나요?
패션머천다이징산업기사 자격을 취득하면 이름과 같이 패션 업계에서 일을 할 수 있으며 상품을 기획하는 일에서부터 판매, 유통까지 모든 영역에서의 업무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새로운 브랜드를 개발하고 이에 따른 기획 업무를 수행할 수 있다. 보통 의류 브랜드 업체에 취업할 수 있으며 자신만의 브랜드를 개발할 수 있지만 개인이 시장에 뛰어드는 것은 큰 모험을 감수해야 한다.
자격증을 취득하면 전망은 어떤가요?
소득 수준이 올라가고 문화가 다양해지면서 패션에 대한 수요는 갈수록 증가하고 있다. 또한 패션도 여러 분야로 세분화되고 있기 때문에 의류, 신발, 액세서리 등 여러 분야에서 머천다이저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따라서 이 자격을 취득하면 취업할 수 있는 것도 많으며 소질이 있다면 전망은 밝은 편이다.
패션머천다이징산업기사 가산점 및 우대사항
자격증명 | 가산점 | 직렬 | 직류 | 기타 우대사항 | |
---|---|---|---|---|---|
패션머천다이징산업기사 | 7급 | 3% | 공업 | 섬유 | - |
9급 | 5% |
효율적으로 공부하는 방법
① 필기시험
패션머천다이징산업기사 필기시험은 패션정보 분석, 패션상품 기획, 패션상품 개발기획, 패션상품 판매전략 등 4과목에 대해 치러진다. 1년에 2회만 치러지기 때문에 더욱 준비를 철저히 해야 하며 5년 이상의 기출문제를 위주로 풀어보고 오답 문제에 대해 이론 공부를 하는 것도 공부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다만 2020년 과목이 변경되어 문제집을 구하기 어려울 수 있는데 작년 기출문제를 구해보는 것도 좋은 방법이다. 최소 3회 이상 공부를 하면 합격할 수 있으며 의류 관련 전공자라면 쉽게 통과할 수 있는 수준이다.
② 실기시험
패션머천다이징산업기사 실기시험은 작업형이지만 인강으로 수업을 들을 수 있다. 특히 기획서 작성법에 대한 교육이 많기 때문에 이 부분을 숙지하는 것이 좋고 수업 후에 과제는 직접 작성해야 실제 시험에서 좋은 점수를 받을 수 있다. 패션과 관련된 실기시험이라 옷을 만드는 것으로 착각하는 경우가 있는데, 상품 기획에서부터 판매, 유통 등의 기획서를 작성하는 것이 실기시험의 내용이다. 오프라인 교육을 받을 경우 실제 시험일 이전에 여러 번 과제를 제출하여 피드백을 받으면 합격하기 더 쉽다.
취득 후 하는 일
① 패션 업계에서 일을 할 수 있으며 상품을 기획하는 일에서부터 판매, 유통까지 모든 영역에서의 업무를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의류 업체에 취업이 가능하다.
② 새로운 브랜드를 개발하고 이에 따른 기획 업무를 수행할 수 있는 부서에 근무할 수 있다.
③ 보통 의류 브랜드 업체에 취업할 수 있으며 자신만의 브랜드를 개발할 수 있지만 개인이 시장에 뛰어드는 것은 큰 모험을 감수해야 한다.
유효기간
해당 자격증은 유효기간이 없는 자격증으로, 만료되지 않는 자격이다.
1 | 필기원서접수 | Q-net을 통한 인터넷 원서접수 |
---|---|---|
필기접수 기간내 수험원서 인터넷 제출 | ||
사진(6개월 이내에 촬영한) 3.5cm*4.5cm,120*160픽셀 사진파일(JPG)) 수수료 전자결제 | ||
시험장소 본인 선택(선착순) | ||
2 | 필기시험 | 수험표, 신분증, 필기구(흑색 싸인펜등) 지참 |
3 | 합격자발표 | Q-net을 통한 합격확인(마이페이지 등) |
응시자격 제한종목(기술사, 기능장, 기사, 산업기사, 서비스 분야 일부종목)은 사전에 공지한 시행계획 내 응시자격 서류제출 기간 이내에 반드시 응시자격 서류를 제출하여야 함 | ||
4 | 실기원서 접수 | 실기접수기간내 수험원서 인터넷(www.Q-net.or.kr) 제출 |
사진(6개월 이내에 촬영한 3.5cm*4.5cm픽셀 사진파일JPG, 수수료(정액) | ||
시험일시, 장소 본인 선택(선착순) | ||
5 | 실기시험 | 수험표, 신분증, 필기구 지참 |
6 | 합격자발표 | Q-net을 통한 합격확인(마이페이지 등) |
7 | 자격증 발급 | (인터넷)공인인증 등을 통한 발급, 택배가능 (방문수령)사진(6개월 이내에 촬영한 3.5cm*4.5cm 사진) 및 신분확인서류 |
이 자격증을 취득한 사람들이 많이 도전한 자격증입니다 !
이 자격증을 취득하면 도전할 수 있는 직업입니다!
제품디자인기술사, 시각디자인기사, 섬유기사, 제품디자인산업기사, 웹디자인기능사, 패션디자인산업기사, 시각디자인산업기사, 섬유산업기사, 보석디자인산업기사, 섬유디자인산업기사
직업정보포장디자이너, 피오피(POP)디자이너, 무대 및 세트디자이너, 속옷디자이너, 신발디자이너, 직물디자이너(텍스타일디자이너), 패션소품디자이너, 의상디자이너, 패션디자이너, 시각디자이너
고객센터 : 1544-6333 ( AM 09:00 ~ PM 19:00 ) | FAX : 032-712-2742 |
Email : [email protected]
주소 : 경기도 부천시 조마루로385번길 92, 1901~1903호 (원미동, 부천테크노밸리 유1센터) |
우편번호 : 14558
대표 : 배성원 | 사업자등록번호 : 585-88-01930
통신판매업 신고번호 제 2020-경기부천-4494 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