응시자격
유사자격 소지자 |
1. 기능사 + 유사 직무분야 실무경력 1년 2. 동일 및 유사 분야 산업기사 자격증 소지자 3. 동일 및 유사 분야 외국자격 소지자 |
---|---|
관련학과 졸업자 |
1. 관련학과 졸업자 또는 졸업예정자 2. 관련학과 전문대학 졸업자 3. 산업기사 수준의 기술훈련과정 이수자 |
실무 경력자 |
유사 직무분야 실무경력 2년 이상 |
시험 내용
구분 | 시험과목 | 시험방법 | ||
---|---|---|---|---|
문제형식 | 문항수 | 시험시간 | ||
필기시험 | ① 재료역학 ② 내연기관 ③ 철도차량공학 | 객관식 | 과목당 20문항 | 과목당 30분 |
실기시험 | 철도차량 기계설계 실무 | 복합형 (필답형 + 작업형) | - | 필답형 2시간 + 작업형 3시간 정도 |
합격기준
필기시험 | 100점을 만점으로 하여 과목당 40점 이상, 전과목 평균 60점 이상 |
---|---|
실기시험 | 100점을 만점으로 하여 60점 이상 |
응시료
• 필기시험 : 19,400원
• 실기시험 : 49,500원
준비물
번호 | 재료명 | 규격 | 단위 | 수량 | 비고 |
---|---|---|---|---|---|
1 | 기계제도 기초용구 | 삼각자,디바이더 등 | 조 | 1 | 조립도면 해독용 |
2 | 흑색볼펜 | 사무용 | 조 | 1 | 연필 제외 |
3 | 삼각스케일 | 300㎜ | EA | 1 | 조립도면 해독용 |
※ 검정에 사용될 시설 및 장비 안내
[ 시설 및 장비 ] [수험자가 확인해야 할 시설 및 장비의 상세한 규격]
1. 컴퓨터 ------------------------------------ 제작회사 및 모델명, OS
2. CAD 소프트웨어(패키지) -------------------- 제품명 및 버전
3. 프린터 ------------------------------------ 제작회사 및 모델명
※ 응시예정자는 검정장비로 사용이 될 상기시설 및 장비의 상세한 규격(제작회사, 모델명
등)을 원서를 접수한 해당 지사에서 사전에 확인하여 동 장비의 사용에 무리가 없도록
준비하여 검정에 임하여야 한다.
※ 만약 검정장소에 준비된 장비 이외의 것을 지참하여 사용을 원할 경우에는 허용이 되나,
호환성, 설치 등 모든 관련 사항은 수험자가 책임을 져야 합니다.
※ 제도작업에 필요한 데이터북은 큐넷 홈페이지 KS 기계제도 규격(데이터북)만 시험 중 열람 가능하며, 그외 출제문제와 관련된 해답 및 투상과 관련된 설명이 수록된 데이터북은 열람할 수 없습니다.
※ 허용된 프로그램 이외의 기 작성된 프로그램이나 BLOCK은 일체 사용을 금지 합니다.
시험일정명 | 접수일 | 시험일 | 합격자발표일 |
---|
철도차량산업기사 가산점 및 우대사항
자격증명 | 가산점 | 직렬 | 직류 | 기타 우대사항 | |
---|---|---|---|---|---|
철도차량산업기사 | 7급 | 3% | 공업 | 일반기계, 농업기계, 운전 | - |
9급 | 5% | ||||
소방 | 1% | 소방 | 철도차량 |
• 난이도 및 공부방법, 합격확률을 높일 수 있는 방법 등
철도차량 산업기사라는 과목은 지하철과 같은 대중교통이 지속해서 증가하면서 급격하게 증가를 하는 추세이기에 이에 따른 전문적인 기술과 지식을 갖추고 있는 인력을 양성하기 위한 제도가 제정되고 있다. 그렇기에 이 전문성을 높이기 위한 철도차량과 동력장치에 관해 공부를 해야 하며 이에 대한 구조와 기능을 이해한 후에 원리와 작용 간의 관계를 고려해서 제작하는 업무를 공부해야만 한다. 필기시험 같은 경우는 한 과목당 30분씩 잡고 있으며 총 1시간 반 동안 진행이 되지만 모든 과목이 40점 이상으로 지정이 되어야 하기에 하나라도 공부를 하지 않는다면 필기시험에 합격하지 않을 수 있으니 조심해야만 한다. 실기 시험 같은 경우에도 복합형과 작업형으로 나누어져 있기에 공부에 부담이 있을 수 있으니 전문 학원을 통해서 공부하는 것을 추천한다.
이 자격증을 취득하면 도전할 수 있는 직업입니다!
철도신호기사, 철도차량기술사, 철도토목기능사, 전기철도기사, 전기철도산업기사, 철도차량운전면허
직업정보철도교통관제사, 여행·호텔관리자, 선박 및 열차객실승무원, 도시 및 교통설계전문가, 산업안전관리원
고객센터 : 1544-6333 ( AM 09:00 ~ PM 19:00 ) | FAX : 032-712-2742 |
Email : [email protected]
주소 : 경기도 부천시 조마루로385번길 92, 1901~1903호 (원미동, 부천테크노밸리 유1센터) |
우편번호 : 14558
대표 : 배성원 | 사업자등록번호 : 585-88-01930
통신판매업 신고번호 제 2020-경기부천-4494 호